경제·금융 금융정책

허인 KB은행장 “디지털 추구가 고객에 앱만을 권유하는 건 아냐”

“업무효율 높아지면 남는 시간 고객만족에 집중해야"

2일 조회사서 “통찰력 있는 ‘유니버셜 뱅커’돼야” 주문도

2일 허인 KB국민은행장이 조회사에서 올해 2/4분기 계획을 말하며 ‘디지털 감수성’과 탈권위 조직문화를 강조했다. /연합뉴스2일 허인 KB국민은행장이 조회사에서 올해 2/4분기 계획을 말하며 ‘디지털 감수성’과 탈권위 조직문화를 강조했다. /연합뉴스



2일 허인 KB국민은행장이 직원들에게 탈권위적 사내문화와 ‘디지털 감수성’을 “확실하게 정착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허 행장은 2/4분기 시작을 맞아 열린 조회사에서 이같이 말하며 그래야만 지난해 업계 1위를 차지한 KB가 타 은행들과의 경쟁에서 앞으로 이길 수 있다고 말했다.

조회사의 핵심이 ‘디지털 시대에 따른 업무의 실질적 변화’인 만큼 허 행장은 “KB가 추구하는 디지털은 무조건적으로 고객에게 앱(app)만을 권유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디지털 기술로 직원이 더 효율적으로 업무를 할 수 있게 지원하고, 여유로워진 그 시간만큼 고객 만족에 집중하자는 것”이라고 KB의 ‘디지털 감수성’의 개념을 정리했다.


또 앞으로 창구방문 없이 제세공과금을 납부하는 ‘KB 스타샷’이나 ‘디지털 창구’ 등을 영업점마다 확대해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진정한 ‘워라벨(work life balance, 일과 개인생활의 조화)’을 앞당겨야 한다”고도 밝혔다.

관련기사



이어 허 행장은 “디지털 기기에 능숙한 우리의 고객은 많은 금융정보를 수집하고 비교한다”면서 그만큼 “이제 금융 전문가는 한 가지 일만 하는 사람이 아니라 종합적인 역량을 바탕으로 자기 분야에서 통찰력을 발휘하는 ‘유니버셜 뱅커’가 돼야 한다”고 밝혔다.

조직문화의 ‘탈권위화’도 주문했다. 그는 “조직 내 수평적인 관계 속에서 창의성이 나오고 일 처리 속도도 빨라진다”며 “권위와 카리스마에서 공감과 설득으로 KB 리더십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디지털 세대인 젊은 직원들을 인정하고 존중해 그들의 작은 목소리도 크게 들어야 변화하는 고객과 시장의 작은 변화도 크게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국민은행은 지난해 당기순익 2조1,750억원을 내며 업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다만 2위인 KEB하나은행과 400억원 정도의 좁은 격차를 보이고 있다.

손구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