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3월 고농도 미세먼지 기승은 중국 탓”…국외 영향 최대 69%

국립환경과학원·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공동 분석·발표

수도권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시행 이틀째인 지난달 27일 오전 서울 종로일대가 안개와 미세먼지에 싸여 있다./연합뉴스수도권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시행 이틀째인 지난달 27일 오전 서울 종로일대가 안개와 미세먼지에 싸여 있다./연합뉴스



지난달 말 국내에서 발생한 고농도 초미세먼지(PM-2.5)에 대해 중국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분석됐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과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달 22∼27일 고농도 초미세먼지(PM-2.5) 발생 원인을 지상과 위성자료, 대기 질 모델링 결과 등을 종합 분석해 9일 발표했다. 국립환경과학원 등에 따르면 올해 1월 15∼18일 나타난 고농도 PM-2.5는 국내 대기 정체에 따라 국내 요인이 훨씬 컸던 반면 지난달에는 국내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했다.

관련기사



중국 등 국외 영향은 초반(3월 22∼24일) 58∼69%에서 후반(3월 25∼27일) 32∼51%로 다소 낮아졌다. 국외 영향은 22일 59%에서 23일 69%까지 올라 정점을 찍은 뒤 줄어들었다. 전체 기간 중 PM-2.5 일평균 농도가 최고값(경기 102㎍/㎥·서울 99㎍/㎥)을 나타낸 25일에는 국내와 국외 영향은 각각 49%, 51%로 비슷했다. 다만 오전에는 국외 영향이 우세(51∼70%)했고 오후에는 국내가 우세(59∼82%)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3월 22일과 24일에는 국외 유입량이 많았고, 이후 25일부터 26일 오전 사이 국내에서 미세먼지 2차 생성이 활발히 일어나 농도가 높아진 것으로 분석했다. 미세먼지 2차 생성이란 대기 중에 가스 상태로 배출된 황산화물(SOx)과 질소산화물(NOx) 등이 물리·화학 반응을 통해 미세먼지(황산염·질산염)로 전환되는 현상을 뜻한다. 특히 당시 대기가 정체되고 습도가 높아 미세먼지 2차 생성이 활발해지는 조건이 형성됐고, 이 탓에 작은 입자가 더 커지면서 농도가 급격히 올랐다는 게 국립환경과학원의 설명이다.
/박신영인턴기자 wtigre@sedaily.com

박신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