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정시 확대 방침에 진보진영 교육단체, "컨트롤 타워 없이 흔들리는 교육정책"

교육부의 대학입시 정시모집 확대 방침을 두고 진보진영 교육단체들의 반발이 거세다.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은 9일 청와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사안마다 당·정·청이 각각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면서 “컨트롤타워 없이 흔들리는 교육정책 난맥상을 대선 교육공약을 기초로 대통령이 직접 바로잡아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최근 더불어민주당 초·재선 의원 모임 ‘더좋은미래’의 정책연구소 ‘더미래연구소’가 내놓은 대입제도개편안과 교육부 차관이 일부 대학에 정시모집 확대를 요청한 것은 “참여정부부터 이어진 교육적 흐름을 거스른 행위”라고 비난했다.

앞서 더미래연구소는 학생부 종합전형을 없애고 수능전형, 내신전형, 수능+내신전형으로 같은 비율의 학생을 선발하는 방안을 제안하기도 했다.

사걱세는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서는 수능이 아닌 학생부 위주 전형에 비중을 둬야 한다”면서 “학생부 종합전형은 불공정성과 준비부담을 일으키는 전형요소를 대폭 줄여 ‘학생부 교과 정성전형’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교육부 산하에 ‘대학입시공정관리위원회’를 두고 특정 고등학교 내신성적을 우대하는 대학 등을 제재해야 한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실천교육교사모임은 이날부터 11일까지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앞과 서울 광화문광장 등에서 정시모집 확대 등을 반대하는 1인 시위를 진행한다.

이들은 “부지불식간에 툭툭 불거지는 교육정책들로 교육현장이 많은 혼란을 겪고 있다”면서 “문재인 정부 교육공약과 맞지 않는 수능 정시 확대 주장을 교육부 차관이 주도한 것을 보면 참담한 심정”이라고 전했다.

반면 보수성향인 ‘공정사회를 위한 국민모임’은 이날 청와대 앞 기자회견에서 정시모집 비율 최소 50% 보장과 수능 전 과목 상대평가, 수능 수학 가형 출제범위에 ‘기하’ 포함 등을 요구했으며 고교 수행평가 폐지 또는 축소, 학생부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기록 폐지 등도 주장하기도 했다.

이들은 또 “교육부가 고교교육기여대학 지원사업과 연계해 수시 수능최저학력기준 폐지를 권고한 것은 꼼수”라면서 “수능최저기준을 없애고 정시인원을 소수 늘리는 것은 ‘정시축소’이므로 권고를 철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