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서울경제TV] 12일 금융권 노사협정 돌입…‘고용안정’ 쟁점

[앵커]

금융권 노사가 성과연봉제 갈등을 겪은 이후 오랜만에 근로조건에 대한 단체교섭을 진행합니다.


노조는 이번 교섭의 핵심은 고용안정이라는 입장인데요.

4차산업 혁명을 이유로 계속되고 있는 금융권의 감원 칼바람과 점포 축소에 제동을 걸겠다는 겁니다. 정훈규기자입니다.

[기자]

전국금융노조가 산별교섭 요구안을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에 전달하고 올해 단체교섭의 시동을 걸었습니다.

금융노조에 따르면 이번 요구안은 약 50개 항목으로 오는 12일 사측과 이 안건들을 협의할 예정입니다.

금융노조와 사용자협의회의 산별교섭은 지난 2010년부터 시작됐습니다.

그러나 성과연봉제 도입을 놓고 노사가 극한 대립을 벌였던 지난 2016년에 사용자들이 협의회를 탈퇴하면서, 이 협상 자리가 공중분해 된 바 있습니다.


이후 정부의 성과연봉제 폐지 결정을 계기로 지난해 11월 임금 교섭은 재개됐지만, 근로조건에 대한 교섭이 진행되기는 4년만입니다.

관련기사



금융노조는 오랜만에 진행되는 이번 단체교섭에서 핵심은 ‘고용안정’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한 대표적인 요구사항은 현재 60세인 정년을 63세로 연장할 것과 임금피크제 지급율 상향, 근로시간 단축, 또 이에 따른 일자리 확대 등입니다.

사용자협의회 측은 노조 요구안에 대해 아직 사측이 모여 논의해보진 못했고 교섭 날까지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사측 입장에서는 4차산업 혁명에 대응하기 위해 진행해온 인원감축과 점포 축소에 제동이 걸리는 일이라 노사 간 팽팽한 줄다리기가 예상됩니다.

특히 정부로부터 청년 고용에 대한 부담을 받고 있는 사측 입장에서는 정년 연장이 부담일 수밖에 없습니다.

한편 금융사 지배구조 이슈와 맞물린 노조추천 사외이사 근거 마련도 금융노조의 주요 요구사항입니다.

그러나 단기간에 답을 도출하긴 어려운 문제라는데 노조도 동의하고 있어 협상 부담은 덜할 전망입니다.

노조 관계자는 “정부가 금융공기관은 노동이사제를 추진하는 만큼, 지배구조 문제가 많은 민간 쪽에서도 노조추천 이사제에 대한 통일안을 마련해 보자는 취지”라고 말했습니다.

[영상편집 소혜영]






정훈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