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부모의 자식사랑’ 담당 뇌신경세포 찾았다

미국 하버드대 연구 성과 네이처 발표

뇌 시상하부 전시각중추가 부모의 사랑 담당

새끼를 돌보는 쥐의 모습 /사진제공=하버드대학새끼를 돌보는 쥐의 모습 /사진제공=하버드대학



부모들은 왜 자녀들에게 무한 애정을 쏟을까. 아이들을 향한 부모의 사랑도 뇌 안의 신경 물질 덕분이다.

미국 하버드대학 연구진은 이런 부모의 행동을 조절하는 뇌 부위를 찾아낸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 1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부모가 되기 전후 수컷 쥐를 살펴봤다. 교미 경험이 없는 젊은 수컷 쥐는 다른 새끼 쥐를 물어 죽이는 등 어린 쥐에게 공격적인 성향을 보였다. 하지만 암컷과 교미한 뒤 자신의 새끼가 태어날 때 즈음에는 이런 공격성이 현저히 줄어들었다.

관련기사



연구에서 쥐 부모의 행동 변화는 뇌 시상하부의 전시각중추(medial preoptic area)와 관련 있다는 점을 밝혀냈다. 이 부위는 수컷 쥐의 성적 행동을 담당한다. 이곳 세포 가운데 ‘갈라닌(galanin)’이라는 물질을 만들어 내는 신경세포가 부모 행동과 관련돼 있음을 실험으로 입증한 것이다. 갈라닌 발현세포를 인위적으로 활성화하자 젊은 쥐도 마치 아빠 쥐처럼 공격성이 줄고 새끼를 보듬었다. 암컷 쥐 역시 수컷 쥐와 같은 뇌 부위가 부모 행동을 유도한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연구를 진행한 캐서린 듀락 교수는 “포유류의 부모 행동 같은 복잡한 사회적 행동을 세부적인 수준에서 설명할 수 있게 됐다”며 “이 연구는 언젠가 산후우울증이 있는 엄마와 아기의 유대를 돕는 방법을 고안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의 의미를 설명했다.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