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공공·민간 협력해 안전사고 대응 능력 강화

서울시가 재난·안전 대응 컨트롤타워인 ‘안전데스크’를 만들고 건설업·병원·숙박업·외식업계 등 각계와 공동대응을 통해 안전사고 대응 능력을 강하기로 했다. 또 쪽방촌·전통시장 등 화재 취약시설에 소방 인프라를 대거 확대해 화재 초동 대응력을 높이는 데 정책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재난·안전 컨트롤타워 기능 강화, 화재안전대책, 공사장 안전대책, 시민 위기대처능력 강화 및 안전의식 제고 등 4대 분야 ‘안전관리 강화대책’을 발표하고 여기에 201억원을 투입한다고 12일 밝혔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날 3선 도전을 선언한 뒤 첫 행보로 건설·의료·숙박 등 각 분야 14개 단체와 재난·안전사고에 공동 대응하겠다는 내용의 결의문 채택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결의문은 공공과 민간이 각자의 자리에서 안전 문화를 정착해 나가겠다는 취지다”며 “또 안전보건공단 서울지역본부, 한국건설안전협회, 서울시교육청 등 6개 기관과 업무협약을 맺고 이전보다 세부적인 안전대책을 수립·실천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행정2부시장 주재로 전 부서의 재난·안전 현안을 정례적으로 논의하고 정책 결정을 하는 재난·컨트롤타워 ‘안전데스크’를 신설해 가동에 들어갔다. 서울시 민생사법경찰단, 토목·방재 분야 퇴직공무원, 전문가가 팀을 이뤄 공사장·시설물 등을 점검하고 단속, 행정처분까지 내리는 ‘서울시 안전어사대’도 올 하반기 120명, 내년엔 260명이 활동에 들어간다.

관련기사



기관·부서별로 따로 관리했던 안전점검 데이터는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해 관리한다. 중복 점검으로 인한 행정 낭비를 막고, 안전 사각지대를 발굴하기 위해서다.

소방차 진입이 어렵고 화재 확산 위험이 큰 쪽방촌과 전통시장에는 지하매설식 소화전을 설치할 계획이다. 또 2022년까지 530개 전통시장 모든 점포에 24시간 화재위험을 감지하고 바로 119에 신고까지 하는 ‘무선화재감지시스템’을 설치한다.

서울시 관할 지하상가에는 화재 시 소화기를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방화 셔터 옆에 소화기 거치대를 설치한다.

화재 초기 출동 인력은 2배로 확대하기로 했다. 지금은 화재 초기 대응 단계에 진압대 3∼4개, 구조대 1∼2개가 출동하지만 앞으로는 진압대를 6∼8대 출동시키고 구조대도 2∼5개로 늘릴 방침이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