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대한항공에 '대한·태극기' 빼라" 조현민 처벌 촉구 靑 청원 봇물

'조현민 구속'부터 '공무원 출장에 대한항공 금지'까지 청원 쏟아져

조 전무는 갑질 논란 당일 해외 출국

조현아 사장 경영복귀에도 차질 줄 듯

'땅콩회항' 당시 언니에게 "반드시 복수" 메시지 보내기도




화를 참지 못하고 광고대행사 직원 얼굴에 물을 쏟아 부은 의혹으로 갑질 논란을 야기한 조현민(35·사진) 대한항공(003490) 전무에 대해 이를 해결해 달라는 청와대 국민청원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14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조 전무와 대한항공에 대해 분노한 시민들의 국민청원이 수십 건 이어졌다. 특히 ‘대한항공’이라는 사명에서 ‘대한’을 빼고 태극기 로고도 삭제하라는 청원이 다수 올라왔다.


한 청원자는 “대한항공은 정부와 국민의 의지로 성장한 항공사이므로 국가의 품격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 전무를 구속수사하고 (사명에) ‘대한’ 및 태극기 로고를 삭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른 청원자도 “조현아(칼호텔네트워크 사장) ‘땅콩회항’ 때도 그랬듯 부모 잘 만났다는 이유로 자매가 돌아가면서 갑질하는 모습에 정말 분노한다”며 “대한항공에서 ‘대한’을 빼달라”고 요구했다.

이밖에 청원자 중 상당수는 조 전무를 구속 수사하고 강력 처벌하라는 주문을 하기도 했다. 또 공무원이나 준공무원 출장 때 대한항공을 더 이상 이용하지 말아야 한다는 청원도 올라왔다.


조 전무는 지난 3월 대한항공 본사와 광고 관련 회의를 하던 중 대행사 직원 얼굴에 유리병을 던지고 물을 뿌렸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하지만 정작 논란의 중심에 선 조 전무는 현재 해외에 체류하는 상황이다. 조 전무는 갑질 논란이 불거진 지난 12일 휴가를 내고 해외로 출국했다. 출국 당일에는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기내에서 촬영한 사진을 올리고 ‘#나를 찾지마’, ‘#휴가갑니다’, ‘#클민핸행복여행중’ 등의 해시태그를 달기도 했다.

관련기사



대한항공 관계자는 “원래 계획된 휴가를 사용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서울 강서경찰서는 지난 13일 “업무상 지위에 관한 ‘갑질’ 행위에 대해서는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엄정히 수사할 것”이라며 조 전무에 대해 공식적으로 내사에 착수했다. 내사는 정식 수사에 앞서 법규를 위반한 정황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다. 혐의가 확인될 경우 조 전무 신분은 피의자로 전환된다. 김진숙 민중당 서울시장 후보도 같은 날 조 전무를 특수폭행 등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했다.

광고업계와 항공업계는 이번 조 전무 논란을 두고 대체로 “올 게 왔다”는 반응을 보였다. 조양호 한진(002320)그룹 회장의 둘째 딸인 조 전무의 갑질 악명은 이미 한참 전부터 업계에 파다했다는 것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조현아 칼호텔네트워크 사장의 ‘땅콩 회항’ 사건이 벌어졌을 때도 조 사장 못지않게 조 전무나 다른 오너가 사람들의 행패도 심했는데 왜 조 사장만 뒤늦게 주목받았는지 의아했다”고 말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이에 대해 “조 전무가 물잔 등을 직접 던지지는 않았다는 게 회사 공식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조현아 칼호텔네트워크 사장조현아 칼호텔네트워크 사장


한편 이번 조 전무 사건은 그의 언니인 조현아 칼호텔네트워크 사장의 경영 복귀에도 차질을 줄 전망이다. 조 사장은 땅콩회항 논란 이후 3년4개월만에 경영 복귀를 준비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미 대다수 국민이 싸늘한 시선을 보내던 상황에서 조 전무 사건까지 겹치며 여론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 법원에서 집행유예를 선고받은 조 사장은 아직도 피해자들에게 진정성 있는 사과를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사건 대표 피해자인 박창진 전 대한항공 사무장은 팀장에서 팀원으로 강등됐으며, 사내 왕따를 당하는 등 2차 피해를 겪은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조 전무는 언니가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에 출석할 즈음 ‘반드시 복수하겠어’라는 메시지를 보내 구설수에 오르기도 했다.


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