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국산 신약, 공공의료기관 의무 등재시 시장 진입 빨라져”

제약바이오협 정책보고서 “국산 신약 경쟁력 높이려면 병원 진입 장벽 낮춰야”

글로벌 신약 개발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국내 제약기업들이 경쟁력을 가지려면 국산 신약을 공공의료기관 처방의약품 목록에 의무 등재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16일 발간한 정책보고서에 따르면 다국적 제약사들이 고가의 혁신 신약 위주의 성장 전략을 펼친 결과 2016년 국내 제약기업의 의약품 처방액과 처방 품목 수 모두가 5년 전인 2012년 보다 감소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처방이 많았던 상위 100대 의약품 가운데 국내 제약기업의 제품은 2012년 43개에서 2016년 41개로 줄었다. 상위 20대 품목으로 한정해 봤을 때는 2016년 국내 제약기업 제품이 4개에 불과해 5년 전인 2012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 청구액 역시 2012년 1조 3,037억원에서 5년 뒤인 2016년 1조 1,502억원으로 축소된 상황이다.


보고서는 국내 제약기업의 시장 점유율이 감소한 이유가 최근 5년간 외국계 제약기업이 고가 신약의 성장에 집중, 대형 품목으로 빠르게 키워내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더불어 국내 제약기업의 경우 신약을 개발해도 정작 시장(병원) 진입이 쉽지 않다는 점을 지적했다. 보고서는 “대형병원 처방 리스트에 등재되기 위해서는 (인허가에 필요한 자료 외에도) 다수의 임상데이터를 제출한다거나 미국식품의약국(FDA) 승인 등의 조건을 만족시켜야 해 시장 진입 자체가 늦어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는 결국 내수 시장에서의 임상데이터나 사용 경험 부족으로 이어져 글로벌 진출 역시 늦어지는 결과를 낳는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보고서는 이런 상황에서 국내 기업의 혁신신약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선 공공의료기관 처방의약품 목록에 국내 개발 신약을 의무 등재하는 등의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봤다. 보고서는 “정부가 의료기관 평가 및 지원정책을 집행하며 국내 개발 신약 사용실적을 평가지표 등에 반영한다면 국산 신약이 실제로 시장에 진입하는 시장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한편 이번 정책보고서는 신약개발 패러다임 변화를 비롯해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등 정부 정책 변화에 따른 제약산업의 영향, 글로벌 제약시장 동향 및 진출 전략 등 다양한 주제를 담고 있다. 협회는 제약·바이오산업의 현안과 이슈 등을 회원사에 알리기 위해 정책보고서를 제공하고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협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김경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