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해외증시

[뉴욕증시] '시리아 사태' 완화에 다우 0.87% 올라

美기업 실적 순항도 지수 개선에 기여 분석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는 16일(현지시간) 시리아 관련 불확실성의 완화로 상승 마감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212.90포인트(0.87%) 상승한 24,573.04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21.54포인트(0.81%) 오른 2,677.8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49.63포인트(0.70%) 오른 7,156.28에 장을 마감했다.

시장 참가자들은 중동 지역 정세와 기업 실적 개선, 러시아 스캔들 조사를 둘러싼 미국 내 정치적 불확실성 등을 주목했다.

이날 위험자산 투자 심리가 되살아났다. 미국이 영국, 프랑스와 함께 지난 13일 시리아에 대한 공습을 단행했지만, 이번 공격이 오히려 불확실성 해소 요인으로 작용했다.

뉴욕증권거래소 로고뉴욕증권거래소 로고



기업 실적도 계속해서 시장 예상치를 웃돌며 주가 상승을 이끌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1분기 주당순이익(EPS)은 0.62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0.45달러보다 상승했다고 밝혔다. 팩트셋의 1분기 EPS 전망치 0.59달러도 상회 했다.


물류 수송 기업인 JB헌터 트랜스포터 서비스의 주당순이익도 1.07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0.92달러에서 큰 폭 올랐다. 이에 따라 수송업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덩달아 상승세를 탔다.

관련기사



제약회사 머크 주가가 항암제 ‘키트루타’의 성공적인 임상 시험 결과에 힘입어 2.6% 오른 것도 지수 상승에 힘을 보탰다.

다만 러시아 및 중국과의 무역 마찰 가능성이 그대로인 점은 위험요인으로 꼽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아침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미국은 금리 인상을 지속하고 있는데, 러시아와 중국은 환율 절하 게임을 하고 있다”며 “이는 수용하기 어렵다”는 비판을 내놨다.

이날 발표된 주요 경제지표도 주가에 긍정적이었다. 미 상무부는 지난 3월 소매판매가 전월 대비 0.6% 늘었다고 발표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조사치는 0.3% 증가였다. 2월까지 소매판매는 2012년 4월 이후 처음으로 석 달 연속 줄었다.

애널리스트들은 기업의 실적 개선이 주가에 지지력을 제공하고 있지만 선 반영된 측면이 있어 지정학적 위험 요인과 정치적 불확실성이 증폭될 경우 시장이 흔들릴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FF 금리선물 시장은 올해 6월 25bp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94.5% 반영했다.

/뉴욕 = 손철 특파원 runiron@sedaily.com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