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영화

[현장] ‘그날, 바다’ 김어준 “음모론이다? 정부 발표도 음모론적 성격 有”

감독 김지영, 언론인 김어준이 17일 오후 서울 동작구 아트나인에서 열린 영화 ‘그날, 바다(감독 김지영)’ 상영 보고회에 참석하고 있다./사진=조은정기자감독 김지영, 언론인 김어준이 17일 오후 서울 동작구 아트나인에서 열린 영화 ‘그날, 바다(감독 김지영)’ 상영 보고회에 참석하고 있다./사진=조은정기자



‘그날, 바다’ 김어준이 음모론이라는 시각에 입장을 밝혔다.

영화 ‘그날, 바다’(감독 김지영) 상영 보고회가 서울 아트나인에서 열렸다. 이날 자리에는 김지영 감독과 김어준 총수가 참석했다.

김어준은 “틀림없이 이 영화를 내놓으면 음모론이 아니냐고 하는 비판 혹은 지적을 받을 걸 예상했다. 그래서 처음부터 네 가지 원칙을 세운 거다. 모든 가설은 사실 입증되기 전까지는 음모론적인 성격이기는 하다”고 운을 뗐다.


이어 “음모론이라는 게 입증되지 않고, 부실하고, 짐작으로 넘겨짚고 자신의 의지나 다른 의도가 담긴 것 아니겠나. 그런 관점에서 이 영화가 제시한 가설을 음모론이라고 한다면 똑같은 눈높이에서 정부가 초기에 침몰 원인이라고 단정했던 이유들이야말로 현재까지도 전혀 어떤 종류의 실험으로도 재현되지 않고 있다. 정부의 단정적인 침몰 원인도 음모론적인 성격을 다분히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그날, 바다’는 2014년 4월 16일 세월호의 항로를 기록한 AIS를 추적해 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침몰 원인에 대해 과학적인 분석과 증거로 접근한 추적 다큐멘터리 영화다.

한편 ‘그날, 바다’는 16일 기준 21만 2152명의 누적관객수를 기록했다. 역대 정치시사 다큐멘터리 영화 중 2위다.

/서경스타 양지연기자 sestar@sedaily.com

양지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