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TV·방송

다산 신도시 택배 논란 해결책이 ‘실버택배’?..왜 국민세금이 나가는가 ‘항의’ 봇물

택배 차량의 아파트 단지 진입을 막아 논란이 된 경기도 남양주시의 다산신도시가 ‘실버택배’를 도입하는 해결책을 내 놓았다.

국토교통부는 17일 다산신도시 택배 문제와 관련해 입주민 대표와 택배업계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간담회를 열어 분쟁을 조정하고 추후 제도개선안도 마련했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사진=연합뉴스



실버택배는 아파트 단지나 인근에 거주하는 노인을 활용하는 택배 서비스로, 작년 12월 말 기준으로 전국 88개 단지에 2천66명이 참여하고 있다.

택배 회사는 기존의 택배 방식으로 아파트 입구의 실버택배 거점까지 물품을 배송하고, 아파트 내에서는 실버택배 요원이 주택까지 방문 배송하게 된다.

문제는 배송 금액의 절반을 보건복지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분담하고, 나머지 절반은 택배회사가 부담한다는 결정이 나왔기 때문.


앞서 다산 신도시 입주민들이 택배회사에 차량을 개조해 차고를 낮추거나 단지 내에서는 이동식 수레로 배달하라며 요구하자 택배회사의 반발이 커졌다. 문제는 다산 신도시 아파트 단지 지하주차장은 층고가 낮아 택배차량 진입이 불가능하며 이에 입주민들과 택배회사가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했던 것.

관련기사



‘안전사고를 막아야 하기’에 요구사항이 정당하다는 입주민과 ‘시간이 돈’인 택배회사 간 입장이 충돌하자, 택배회사 측은 결국 다산 신도시를 ‘택배 불가 지역’으로 지정해 배송을 거부하거나 단지 입구에 택배상자를 쌓아놓는 등 실력행사로 맞섰다.

다산 신도시 택배 논란 해결책으로 ‘실버택배’가 최선의 대안으로 나오자, 누리꾼들의 항의가 커지고 있다. “택배사에서 일부내고, 각 가구가 택배비를 납부해야 하는 것이 맞고, 택배비 지불이 어려우면 관리비에 별도 택배비 납부항목을 만들어서 부과하면 된다고 봅니다. 세금으로 해결하는 것은 문제가 있는 듯 하다”며 납득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앞서 다산신도시 입주민들의 ‘갑질’ 논란을 야기했던 택배 문제가 이번엔 ‘세금’ 논란으로 커지고 있는 모양새다.

누리꾼들은 “실버택배입주민 편의를 위해서 왜 국민세금이 나가” “내 세금 왜 저런데 쓰죠? 아파트 입주민 결국 돈 한 푼안들이고 본인들 이득 얻어” “아파트 단지에서 내야지 왜 이걸 국민들이 내야하는건지 국민들이 찬성했나요?” “다른 아파트에서도 이러면 국가에서 해결해주나요..”“이거야 말로 국민청원 가야한다~” 등 의견을 내 놓고 있어 논란은 계속 되고 있다.

정다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