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삼성 노조활동 보장]'관리의 삼성' 시스템 위축 우려 속 노조 계열사 전반 확대엔 경계감




삼성전자서비스가 민주노총 금속노조 삼성전자서비스지회 소속 용역업체 직원 8,000여명을 직접 고용하기로 하면서 삼성의 무노조 경영 원칙이 사실상 깨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전자를 제외한 삼성 계열사들에도 노조 세력이 확대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이럴 경우 삼성 특유의 인사·조직 관리를 통한 스피드 경영이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다만 계열사마다 환경이 다르다는 점에서 노조 확대 전망에 대해서는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17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 계열사 가운데 노조가 조직된 곳은 전자서비스를 비롯해 총 8곳이다. 전신인 동방생명 시절이던 지난 1962년 노조가 조직된 삼성생명 외에 삼성증권·삼성물산 에버랜드·삼성SDI·삼성엔지니어링·삼성웰스토리·에스원에 노조가 설립돼 있다. 삼성웰스토리와 에스원은 복수노조 체제여서 실제 노조 조직은 총 10개다. 규모가 대개 수십 명 수준에 그치고 활동도 미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계열사의 한 관계자는 “노조가 조직돼 있기는 하지만 유명무실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일각에서는 이번 전자서비스의 협력사 직원 직접고용 방침으로 계열사의 노조활동이 확산될 것이라는 전망이 있다. 박지순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삼성의 아웃소싱 시스템에 변화가 나타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일단 전자서비스는 협력사 직원 직접고용을 통한 서비스의 질 개선을 기대하고 있다. 다만 기존 직원 1,200명 수준에서 8,000여명을 추가로 고용하게 돼 비용 부담이 크다는 게 문제다. 이와 유사한 사례가 여타 계열사에서 나올 경우 삼성 특유의 효율적 인력 운용과 고용 형태의 유연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이유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법원이 전자서비스 노조가 제기한 근로자 지위 확인 소송에서 적법한 도급이라고 결론을 내린 상황임에도 이런 결정을 한 것은 경제적 이슈를 정치적 논리로 풀어버리는 결과가 돼 안타깝다”며 “중장기적인 지속 가능성에 의문을 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