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농진청, 대학·민간 손잡고 작물 등 23종 유전체 해독

2021년까지 300억 투입예정

품종·소재 개발 자료로 활요

농촌진흥청은 농업 경쟁력 향상 등을 위해 오는 2021년까지 농작물과 가축·곤충 등 23종의 유전체 해독사업을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유전체 해독에는 농진청을 비롯한 대학·민간기업 등 25개 기관과 320여명의 연구원이 참여한다. 이 사업에는 모두 30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유전체 해독은 생명체가 가진 유전자의 종류·개수·구조·기능 등을 밝히는 연구를 말한다. 유전체 해독으로 얻은 정보는 새로운 품종의 종자 개발이나 식·의약, 화장품 등 산업 소재를 개발하는데 기초 정보로 활용된다.


올해부터 시작되는 해독 대상 농생명 자원은 농작물 16종, 가축 3종, 곤충·선충 4종 등 모두 23종이다. 농작물 중에는 국내 새로운 품종 개발을 촉진해 농가 소득 증가를 지원할 수 있도록 브로콜리·양배추·박초이·돌산갓·수박·파프리카·오이·딸기·박과대목·복숭아 등 원예작물 10종이다. 또 고부가·건강 기능성 물질이 풍부한 재배들깨·참깨·오미자·차나무·복령·율무 등 특용작물 6종, 유용한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한 곤충자원으로 흰점박이꽃무지·누에(삼면잠) 등 2종,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씨스트선충 2종 등이 포함됐다.

관련기사



가축 중에서는 축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토종 가축 자원인 흑돼지(난축맛돈), 관상용 긴꼬리닭과 이종장기 이식 실용화를 위해 바이오장기 연구에 활용되는 미니돼지 등 3종이다.

농진청은 지난해까지 1단계 사업을 통해 메밀·고구마·국화·도라지·왕지네·진돗개 등 17종의 농생명 자원 유전체를 해독했다. 유전체 정보는 농업생명공학정보센터에서 통합 관리해 현재 315종 316만2,000건(29.7TB)의 정보를 공개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대학, 산업체 등 21개 수요처에 6,473건(20TB)의 정보를 제공했다.

안병옥 농진청 국립농업과학원 유전체과장은 “유전체는 베일에 싸여 있던 생명체의 설계도로 생명산업의 기반이 되는 중요한 원천이 지식재산권”이라며 “앞으로 유전체 해독에서 비롯된 빅데이터가 종자산업 등 농산업 현장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