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만파식적] 퓰리처상

나치의 등장과 제2차 세계대전의 조짐이 일기 시작하던 1932년 7월30일 미국 일간지 시카고데일리뉴스에 ‘히틀러는 (독일의) 독재자가 될 수 있는 기회를 잡았다’라는 제목의 기사가 실렸다. 취재기자는 당시 베를린 특파원이었던 에드거 모러. 그는 독일 선거 과정에서 나타난 아돌프 히틀러의 등장과 나치의 득세가 세계에 새로운 위협으로 등장할 수 있음을 며칠에 걸친 시리즈 기사로 지적했다. 또 이듬해에는 취재한 소스들을 모아 ‘독일이 시계를 거꾸로 돌린다’라는 제목의 책도 발간했다. 나치가 눈엣가시로 여긴 모러를 독일에서 추방했지만 퓰리처상위원회는 그에게 1933년 최고의 특파원이라는 명예를 부여했다.




1917년 헝가리 출신 미국 언론인인 조지프 퓰리처가 만든 ‘퓰리처상’은 미국 기자라면 누구나 꿈꾸는 영예이다. 1만5,000달러의 상금이나 금메달 때문이 아니다. 발로 뛰어 진실을 알렸다는 자부심 때문이다. 퓰리처상을 처음 수상한 ‘뉴욕월드’의 허버트 스워프는 1차 세계대전이 한창인 1916년 석 달 동안 독일을 돌아다니며 ‘독일 제국 내부에서’라는 시리즈물을 실었고 뉴욕타임스(NYT)의 데이비드 핼버스탬과 AP통신의 맬컴 브라운은 월남전의 이면을 담은 생생한 기사와 부패한 응오디지엠 정권에 대한 고발로 1964년 국제보도 부문을 수상했다.


하지만 퓰리처상이 반드시 영예만 가져다주는 것은 아니다. 때로는 특종에 눈이 먼 기자도 나타난다. 2003년 NYT는 1932년 당시 자사 소련 특파원이던 월터 듀런티에게 수여된 상을 철회해달라는 의견서를 퓰리처상위원회에 제출했다. 수백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우크라이나 기근 사태가 스탈린이 농업 집단화를 위해 인위적으로 만든 기아였음을 알면서도 이를 외면하거나 왜곡·과장했다는 점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비록 퓰리처상위원회가 이를 받아들이지는 않았지만 듀런티는 이로 인해 무덤에서도 ‘상에 눈이 먼 기자’가 되고 말았다.

관련기사



미국 NYT와 워싱턴포스트(WP)가 2016년 미국 대선 당시 도널드 트럼프 진영과 러시아 간 내통 의혹을 다룬 기사로 올해 퓰리처상의 영예를 안았다. 트럼프의 끊임없는 ‘가짜 뉴스’ 공격도 언론사 소유주에 대한 압박도 이들의 수상을 막지 못했다. 권력 또는 강자에게 굴하지 않고 진실을 알리려는 힘은 누구도 막을 수 없는 진리임을 다시금 깨닫는다. /송영규 논설위원

송영규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