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남경필 “버스준공영제 7월 버스운행 축소 최우선 대안”

오는 7월 근로기준법 개정으로 근로시간이 주 52시간으로 단축될 경우 도내 버스 운전자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도내 버스업체 58개사를 대상으로 긴급 의견조사를 시행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조사결과 도내 버스업체들은 현재 인력의 41% 수준의 추가인력 충원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하지만 오는 7월 전까지 채용 가능한 인원은 추가 필요인력의 15%밖에 안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도내 버스업체의 79%는 운수종사자의 근로시간 단축에 상응하는 만큼 임금감소가 있을 것으로 응답했다. 줄어드는 임금수준은 현 임금의 평균 22% 정도인 것으로 분석됐다.


버스업체의 95%는 감회(90%), 감차(86%), 첫차·막차시간 조정(84%), 노선단축(74%), 폐선(72%) 순으로 노선운영 변경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 규모는 전체 운행 대수의 평균 45% 수준인 것으로 추정된다.

관련기사



개정된 근로기준법 시행에 대한 지원대책으로 88%의 버스업체가 정부와 지자체가 ‘버스준공영제를 우선적으로 추진해줄 것’을 바라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밖에 ‘요금 인상’(12%), ‘운수 종사자 양성 확대’(9%) 등 의견도 제시됐다.

앞서 지난해 10월 경기도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도정 여론조사’에 따르면 도민 74%가 경기도의 ‘광역버스 준공영제’ 추진계획에 찬성한다고 입장을 나타낸 바 있다.

이번 조사는 지난 18∼19일 ㈜월드리서치에 의뢰해 도내 버스업체를 대상으로 전수조사 방식으로 시행했다. 총 69개 사업체 중 58개업체가 조사에 응했으며, 응답률은 84%다.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근로기준법이 시행되는 7월 이후 도민들의 교통불편이 대단히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경기도의 버스준공영제는 도민들의 편리하고 안전한 버스이용을 보장할 수 있는 최적의 대안으로 제도가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