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글로벌 석유기업, 화학사업 진출 러시…“국내기업에 위협”

최근 세계적인 석유기업의 화학사업 진출이 이어지면서 국내 기업에 위협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위기를 예방하려면 고부가 제품 개발 등 전략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LG경제연구원은 23일 ‘세계 석유 기업의 화학사업 투자 확대, 어떻게 볼 것인가?’라는 보고서에서 “석유기업들의 석유화학 투자 확대는 기존 석유화학 기업들에 경기 사이클·시장 지위, 안정적 원료 소싱 측면에서 위협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석유기업들은 석유 탐사와 개발을 중심으로 운영하고 화학사업은 최소한으로 참여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하지만 최근엔 화학사업에 적극 뛰어드는 사례가 많아졌다. 엑슨모빌, 아람코 등 굴지의 에너지 회사들은 화학사업 관련 대규모 설비투자, 프로젝트 지분 인수 등을 시도하고 있으며 중국과 중동의 석유기업들도 석유+화학 통합 육성에 열을 올리고 있다.

관련기사



석유 탐사·생산에 대한 투자 매력이 떨어지고 전기자동차 개발 등으로 석유 수요가 감소하는 데다 글로벌 환경 규제로 석유 화학 원료용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연구원은 이런 추세는 한국 석유화학 기업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를 수행한 임지수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경쟁적인 투자 과열로 석유 화학 원료가 공급 과잉이 될 수 있고 우리 기업들이 기초 원료로 쓰는 나프타 등의 가격이 오를 위험도 있다”고 밝혔다.

임 연구위원은 신규 기업이 짧은 시간에 모방하기 어려운 기능성 소재, 정밀화학 제품과 고기능성 첨단 소재를 적극 육성해 경쟁력을 차별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글로벌 기업들의 신규 투자에 분업 투자하는 방식을 통해 성장 기회를 공유하는 방법도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서민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