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도 시군구 등 지방자치단체 금고 관리에 참여해야 합니다. 하지만 지금은 자산총액 2,500억원 이상, 자본총액 250억원 이상의 요건을 모두 갖춰야 해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
박차훈 새마을금고중앙회장은 24일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현재 지자체 금고는 특정 금융기관이 계속해 차지하고 있다”며 새마을금고의 참여 기회가 확대돼야 한다고 밝혔다. 현재 참여기준에 해당하는 새마을금고 법인은 1,314곳 중 2%인 26곳뿐이기 때문이다. 그는 “지자체 개별 특별회계 또는 기금 규모 이상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면 자산총계를 충족한 것으로 기준 완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박 회장은 “지자체 기금을 저금리로 유치하게 되면 금융소외계층·영세서민·근로자·소상공인 등에게 저리의 자금대출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달 취임 이후 첫 공식 언론 인터뷰에 나선 박 회장은 “비대면 서비스 활성화로 젊은 고객 유치에 힘을 쏟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그는 “전국 새마을금고의 절반이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급하는데 대학에 가면 교통카드가 탑재된 시중은행의 학생증을 받으면서 계좌를 옮긴다”며 “학생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사업을 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25% 정도에 그치는 새마을금고의 20~30대 고객 비중을 더 높이겠다는 구상이다. 박 회장은 “젊은 모델 기용도 검토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양질의 종합금융 서비스 제공을 통한 새마을금고의 대중화를 위해 박 회장은 핀테크 활성화를 우선 과제로 삼았다. 은행 및 카드사와의 업무제휴를 통해 새로운 상품 개발과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그의 일환으로 카카오페이와 업무협약을 체결해 하반기부터 카카오페이의 간편인증 기술을 적용해 모바일 MG상상뱅크 애플리케이션에서 본인인증 절차를 간소화할 계획이다. 박 회장은 “외화송금이나 카드의 해외사용과 같은 업무가 아직 불가능한데 중앙회 차원에서 은행과의 제휴나 정부에 제도개선 건의 등으로 적극 나설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뜨거운 감자인 MG손해보험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나타냈다. 박 회장은 “지난해 말 이사회에서 ‘투자 부적격’으로 유상증자 부결이 났는데 지원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는 만큼 다양하게 자본유치 노력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규제완화라는 실질적인 애로사항도 털어놓았다. 주택담보인정비율(LTV) 같은 금융규제에서 1금융권과 상호금융이 똑같이 묶이니 자본과 영업력 차이로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박 회장은 “LTV 규제를 조금만 차별화해 풀어도 서민들은 숨을 쉴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연말 일몰이 돌아오는 조세특례제한법에 따른 예탁금 이자수익의 비과세 혜택과 관련해 “서민들을 위해 존속시키는 게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조특법에 따르면 상호금융 조합원 1인당 예탁금 3,000만원까지 이자소득세 14%가 감면된다.
박 회장은 논란이 됐던 지역 금고 이사장의 갑질 문제와 부정한 경영에 대해서는 안타깝게 생각했다. 그는 조만간 회장 직속으로 고충처리위원회를 만들어 이러한 문제를 풀어나갈 계획이다. 박 회장은 “신속하게 처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라며 “다음달 전국 13개 지역본부 투어를 다니며 지역 이사장들에게 잘못된 것을 개선해나가자고 당부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새마을금고는 올해 전년 대비 30%가량 채용을 확대해 청년일자리 창출에도 힘을 쏟을 계획이다. 박 회장은 “1,314개 금고에서 1명씩만 채용을 해도 양질의 일자리 1,300개가 창출된다”고 밝혔다. 이들 인력은 최저임금 상승 등으로 직원을 줄여 영업시간 중 직접 대면 창구에 찾아오기 힘든 소상공인에 대한 편의성을 높이도록 직접 찾아가는 서비스로 활용할 방침이다. 사진=이호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