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내시판 모든 담배서 '가향성분' 검출…흡연 유도·지속효과 위해

질병관리본부 60종 분석결과

일반 궐련담배에도 첨가 확인

질병관리본부는 국내 시판 궐련담배 60종을 대상으로 연초(담뱃잎) 내 첨가물을 분석한 결과, 모든 제품에서 흡연을 유도하는 가향성분이 포함된 것을 확인했다./연합뉴스질병관리본부는 국내 시판 궐련담배 60종을 대상으로 연초(담뱃잎) 내 첨가물을 분석한 결과, 모든 제품에서 흡연을 유도하는 가향성분이 포함된 것을 확인했다./연합뉴스



질병관리본부는 국내 시판 궐련담배 60종을 대상으로 연초(담뱃잎) 내 첨가물을 분석한 결과, 모든 제품에서 흡연을 유도하는 가향성분이 포함된 것을 확인했다고 26일 밝혔다.

조사를 통해 검출된 가향성분은 제품별로 최소 2개에서 최대 28개였다. 가장 많이 검출된 성분은 박하향을 내는 이소멘톤(isomenthone), 이소푸레골(isopulegol), 멘톨(menthol)으로 46종 제품에서 한 가지 이상 검출됐다. 또 코코아 성분인 테오브로민(theobromine)은 59종에서, 바닐라향을 내는 바닐린(vanillin)은 49종에서 검출됐다.


질병관리본부는 “담배 가향성분은 캡슐담배나, 궐련담배의 연초 등에 첨가되고 있다”면서 “이번 조사는 국내 시판되는 캡슐담배 뿐만 아니라, 일반 궐련담배에도 다양한 가향성분이 첨가되어 있음을 확인한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담배 가향성분은 향과 맛으로 담배 고유의 자극성을 가리고, 코코아 성분인 테오브로민, 박하향을 내는 이소멘톤, 이소푸레골, 멘톨 등은 기관지 확장 효과가 있어 담배연기를 더 깊게 흡입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세계보건기구(WHO)는 담배규제기본협약 가이드라인을 통해 가향성분 등 담배 맛 향상을 위해 사용하는 첨가물의 사용금지를 권고했고, 미국, 유럽연합(EU), 캐나다 등 여러 국가는 가향성분 첨가를 규제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해 ‘가향담배가 흡연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통해, 담배 가향성분이 청소년, 여성 등 젊은 층에서 흡연 시작을 용이하게 하고 흡연을 지속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음을 밝힌 바 있다. 보건복지부는 “담배제품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가향성분에 대한 규제방안이 담긴 법률안이 현재 국회에 발의된 상태”라며 “기재부·식약처 등 관계부처와 협력하여 법률안 통과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박신영인턴기자 wtigre@sedaily.com

박신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