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캡슐담배뿐 아니라 일반 담배서도 흡연 유도하는 ‘가향 성분’ 검출

시중에 판매되는 사실상 모든 담배 제품에 흡연을 유도하는 가향 성분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인위적으로 향을 추가한 캡슐담배뿐만 아니라 일반 궐련배담도 가향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규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질병관리본부는 공주대 신호상 교수팀에게 의뢰한 연구용역을 분석한 결과 판매량 상위 60종의 담배에 들어가는 연초에서 최소 2종에서 최대 28종의 가향 성분이 검출됐다고 26일 밝혔다. 담배에 들어가는 가향 성분은 담배 고유의 자극성을 무디게 하는 역할을 한다.


가장 많이 검출된 성분은 박하향을 내는 이소멘톤, 이소푸레골, 멘톨이었다. 46종 제품에서 한 가지 이상 검출됐다. 코코아 성분의 일종인 테오브로민은 59종에서 나왔고 바닐라향을 내는 바닐린은 49종에서 검출됐다. 검출된 첨가물 전체 종류는 39종에 달했다.

관련기사



세계보건기구(WHO)는 담배규제기본협약 가이드라인을 통해 가향 성분 등 담배 맛의 향상을 위해 첨가물을 사용하지 말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유럽, 캐나다, 브라질 등은 담배에 가향 성분을 첨가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국내에 시판되는 캡슐담배뿐만 아니라, 일반 담배에도 다양한 가향 성분이 첨가되어 있음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가향 성분을 규제하는 법률안이 현재 국회에 발의된 만큼 관계부처와 협력해 법률안 통과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지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