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TV·방송

남북정상회담 사열 시간 장소는? 김정은 예우 수준 관심

남북 정상회담에 나서는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국군 의장대 사열을 받는다.

북측이 2000년과 2007년 남북정상회담 당시 방북한 김대중 전 대통령과 노무현 전 대통령을 인민군 의장대 사열로 맞이한 만큼 우리 정부도 김 위원장을 예우키로 한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는 “한반도 평화정착과 남북 간의 신뢰 회복을 위한 제3차 남북정상회담이 성공적으로 진행되게 하려고 남북 정상에 대한 예우를 갖추는 의미로 3군(육·해·공군) 의장행사를 지원할 예정”이라며 “의장대 사열은 판문점이라는 지형적 제한사항을 고려해 축소된 의장행사로 실시될 예정”이라고 25일 밝혔다.

김대중 전 대통령 사열 모습(사진=국방부)김대중 전 대통령 사열 모습(사진=국방부)



김 위원장을 환영하는 의장대 사열은 자유의집이나 평화의 집 앞으로 예상된다.

국방부의 한 관계자는 “약식 의장대 사열은 의장대와 군악대, 기수단 등을 포함해 참가인원이 약 150명 규모이고, 예포 발사 등의 의전도 생략된다”고 설명했다.


남북관계의 특수성을 고려할 때 김 위원장에 대한 의장대 사열에선 국가연주나 국가게양과 같은 의전도 생략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김 위원장은 오는 27일 판문점 남측지역 평화의집에서 열리는 남북정상회담에 참석하기 위해 판문점 북측지역 판문각과 남측지역 자유의집 사이를 가로지르는 군사분계선(MDL)을 넘어올 것으로 예상된다.

남과 북이 판문각부터 남측 기자단의 취재를 허용키로 합의한 것은 김 위원장이 걸어서 판문점 군사분계선을 넘어오고, 문재인 대통령은 군사분계선에서 김 위원장을 영접하는 것으로 동선이 짜였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노무현 전 대통령 사열 모습(사진=국방부)노무현 전 대통령 사열 모습(사진=국방부)


한편 김대중 전 대통령도 2000년 방북 때 평양 순안공항에서 북한 인민군 의장대의 사열을 받았고, 노무현 전 대통령도 2007년 방북 때 평양 4·25 문화회관 앞 광장에서 의장대 사열을 받았다.

지난 두 번의 남북정상회담 때 북측의 의장대 사열에서도 국가연주나 국가게양, 예포 발사와 같은 의전은 생략됐다.

김진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