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갱년기 우울증, 침으로 완화 가능

한의학硏 류연희 박사팀 규명

침을 통한 갱년기 우울증 완화 효과 원리. /출처=한국한의학연구원침을 통한 갱년기 우울증 완화 효과 원리. /출처=한국한의학연구원




삼음교 자리. /출처=진서원출판사삼음교 자리. /출처=진서원출판사


침이 갱년기 우울증 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속설이 과학적으로 증명됐다.


한국한의학연구원(한의학연)은 류연희 임상의학부 박사팀이 침을 통해 갱년기 우울증 개선 효과를 검증한 논문을 최근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실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팀은 쥐의 난소를 절제해 여성호르몬 결핍을 유도한 뒤 갱년기 우울증 증상을 보이자 침을 놓기 시작했다. 그 결과, 뇌 해마 부위에서 뇌유래신경영양인자(BDNF)와 신경펩타이드 Y(NPY) 발현이 증가해 우울증이 완화되는 것을 확인했다. 행동평가, 미로실험, 강제수영 장치 등을 통해서다. 약물학적 기법도 활용해 뇌 기능 조절물질의 상호작용을 분석했더니 경혈 자극이 BDNF 발현을 늘린다는 사실도 관찰했다.

관련기사



침은 여성 질환에 효과가 있는 혈 자리인 ‘삼음교’(三陰交)에 놨다. 사람으로 치면 안쪽 복숭아뼈 윗쪽으로 엄지·중지·검지를 가로로 모아 댄 뒤 나오는 자리다. 삼음교는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의 혈 자리로 이곳에 반응을 일으키면 생리통·불임·자궁 출혈 등 질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는 침 뿐만 아니라 손가락으로 눌러줘도 일정부분 효과가 있다는 게 한의학계의 설명이다. 류연희 박사는 “다양한 정서 질환에 침 치료를 적용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가 될 것”이라며 “정서 질환 완화에도 침이 도움이 되는지 살펴볼 것”이라고 밝혔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