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7일 남북정상회담에 앞서 평화의 집 1층 로비에서 악수하며 기념촬영을 한 배경그림은 화가 민정기(69)의 2007년작 ‘북한산’이다.
청와대 측은 이번 정상회담을 앞두고 판문점 평화의 집 곳곳에 그림을 걸었고 특히 민정기 화백의 ‘북한산’은 사상 처음으로 남측 땅을 밟는 북측 최고 지도자를 서울의 명산으로 초대한다는 의미와 북한산이라는 이름의 중의적 의미가 고려됐다.
그림 앞에 선 김 위원장은 “어떤 기법으로 그린 그림입니까?”라고 물으며 관심을 표했고 문 대통령은 “북한산을 그린 서양화지만 우리 한국화 기법이 사용됐다”고 답변했다.
정확한 설명이었다. 민정기는 유화라는 서양화 재료와 기법을 구사하면서도 우리 전통 산수화의 흥취와 품격을 새로운 방식으로 되살려내는 작가다.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처럼 보는 것을 넘어 마음으로 본 풍경을 그리면서 여러 시점을 넘나들고, 민화적 전통을 도입하는 등 독자적인 화풍을 이뤘다. 평론가들은 ‘북한산’을 비롯한 그의 산수화를 “철저하게 현실적이면서 인문적인 자연 성찰의 결과”라고 평한다. 이번에 걸린 ‘북한산’은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이다.
민정기는 1980년대 ‘현실과 발언’의 동인이자 민중미술의 대표작가였다.
였던 민정기는 우리가 친숙하게 알고 있던 ‘이발소 그림’을 재해석한 작품들을 통하여 한국 현대미술의 독자성을 복원할 가능성을 찾아내려는 시도를 했다. 동시에 텍스트를 작품의 주요한 맥락으로 설정하여 문학적 텍스트를 시각화하는 작업을 꾸준히 해왔다. 1987년, 경기도 양평으로 작업실을 옮긴 후, 민정기는 우리가 사는 환경과 역사의 이야기를 화폭에 담아내기 시작했다. 그는 본인이 살고 있는 지역 주변을 직접 걸어 다니면서 관찰하고, 역사적, 지리적 자료를 수집하여 해석한 풍경을 그림으로 그려냈다. 민정기는 자신이 자유롭게 주변을 걷고 바라보듯이 자유로운 시선의 이동을 그림으로 시각화하고, 그 속에 인문학적 고찰과 작가적 상상을 보태어 시공간이 묘하게 중첩되어있는 산수풍경을 그려왔다.
민정기 화백은 지난 2016년 금호미술관 개인전에서 오늘날 개성인 개경에서 남경인 서울로 이어지는 풍경화를 다수 선보였다. 작품들은 분단 이후 시간이 멈춘 듯한 임진나루에서 시작해 종로구 홍지문을 지나 번화한 홍제동과 경복궁 어귀에 이른다. 여타 그림과 달리 민정기 특유의 자유로운 시점 이동으로 풍경화에는 화가가 인식한 현실의 모습, 아픈 분단의 역사와 개발의 흔적, 그리고 자연에 대한 그리움이 겹쳐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