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SCMP “화웨이 기술 자립도 높고, 부품 美 의존도 낮아 잘 버틸 것”

/AP연합뉴스/AP연합뉴스



세계 3위 스마트폰 제조업체인 중국 화훼이가 미국 법무부로부터 대이란 제재 위반 여부를 조사받고 있다는 소식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화웨이가 앞서 제재를 받은 ZTE 보다 미국 공세에 훨씬 더 잘 버틸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27일 “화웨이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연구개발 투자를 하는 기업 중 하나로 기술자립도가 매우 높고 부품 조달에 대한 미국 의존도가 낮아 ZTE보다 미 공세에 훨씬 더 잘 버틸 것”이라고 보도했다.


최근 미 상무부가 대북 및 대이란 제재를 위반한 혐의로 중국 통신장비업체 ZTE에 대해 7년간 미국 기업과 거래를 못 하도록 제재한 데 이어, 미 법무부가 중국 화웨이의 대이란 제재 위반 여부를 조사 중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핵심부품 조달을 미국 기업에 의존하는 ZTE는 이로 인해 기업 생존을 위협받을 정도로 심각한 위기에 처한 것으로 전해졌다.


ZTE는 통신장비 등에 들어가는 부품의 25∼30%를 인텔, 마이크론 등 미국에서 조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관련기사



반면 화웨이는 최대 부품 조달처가 세계 1위의 전자기기 위탁생산업체인 대만의 ‘폭스콘’으로 부품 조달 구조가 ZTE와 다르다. 화웨이도 부품조달의 25%가량을 미국에 의존하지만 중국 배터리 제조업체 BYD, 대만 반도체 제조업체 TSMC 등 중국 기업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높다.

실제 웨이의 부품 조달 창구는 미국과 함께 중국(41%), 대만(9%), 한국(7%), 일본(3%) 등으로 다변화됐다.

여기에 화웨이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연구개발 투자를 하는 기업 중 하나로 기술자립도가 매우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화웨이의 반도체 부문 자회사 하이실리콘(HiSilicon)은 핵심 모바일 칩 ‘기린’(Kirin) 개발에 성공하는 등 핵심 칩 공급을 미 기업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ZTE와는 다르다는 평가다.

시장조사업체인 차이나마켓리서치그룹의 임원 숀 레인은 “화웨이에 대한 제재가 현실화한다고 하더라도 그로 인한 타격은 ZTE와 다를 것”이라며 “ZTE는 생존 위기에 처해 있지만, 화웨이는 그 정도의 타격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