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2025년 매출 40조" 현대글로비스, 미래 모빌리티 기업으로

미래 비전·중장기발전전략 발표

AS·모듈 등 핵심사업 5개로 재편

신산업 투자 늘려 "年 12% 성장"

2815A21 글로비스사업포트폴리오



현대모비스에 이어 현대글로비스도 사업 재편과 신산업 투자로 오는 2025년 현재의 두 배가 넘는 40조원 매출을 달성하는 미래 비전을 발표했다. 지난달 현대자동차그룹은 현대모비스의 일부 사업을 현대글로비스와 분할 합병하는 안을 중심으로 한 순환출자 해소 방안을 밝혔다. 하지만 글로벌 행동주의 헤지펀드 엘리엇은 현대차와 현대모비스를 합병하라는 요구를 했는데 현대차그룹은 자체 비전만으로도 현대모비스와 현대글로비스를 현재의 두 배 이상 키울 수 있다며 사실상 제안을 거부했다.

현대글로비스는 27일 이 같은 내용의 중장기발전전략을 발표했다. 핵심은 현재 △물류 △해운 △유통 등으로 구성된 핵심사업을 △종합물류 △해운 △모듈 △AS △미래신산업 등 5개로 재편하는 방안이다. 현대글로비스 관계자는 “5개 사업군으로 재편해 현대기아차의 글로벌 공급망관리자(SCM)로서 완벽한 가치사슬(value chain)을 이루게 된다”고 밝혔다.


종합물류와 해운은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을 결합한 운송과 하역·물류시스템 등 스마트화에 박차를 가한다. 현대모비스의 핵심사업인 모듈과 AS사업을 흡수한 후의 미래 비전도 내놓았다. 보유한 물류센터 등과 함께 모듈·AS사업의 운송네트워크 등을 결합해 관리 효율을 높인다는 복안이다. AS 부품 사업 확대를 위해 전기차·수소차 관련 사업과 자율주행·3D 프린팅 등 신기술 제품도 출시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핵심은 신산업 투자다. 정보통신(IT) 기술을 기반으로 모빌리티 플랫폼을 구성해 미래차 사업의 중심이 될 카셰어링(차량공유)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이를 위해 관련 기업을 인수합병(M&A)하거나 정보통신기술(ICT)을 보유한 플랫폼 업체와 전략적 제휴도 검토하고 있다.

순환출자 해소는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이 보유한 현대글로비스 주식을 기아차에 매각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실상 지주사가 될 현대모비스의 지분을 확보하는 절차다. 현대글로비스의 가치가 높아질수록 순환출자 해소가 원활해지는 구조다. 현대글로비스는 이번 사업재편이 완성되면 2025년 매출액이 현재(약 16조4,000억원)보다 연평균 12% 이상 뛴 40조원을 달성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