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조현민 '물벼락 갑질' 발목잡힌 대한항공-델타 조인트벤처

기자간담회 취소되고 의사 결정 시스템 ‘올스톱'

조현민 대한항공 전 전무/서울경제DB조현민 대한항공 전 전무/서울경제DB



조현민 전 대한항공 전무의 ‘물벼락 갑질’에서 시작된 대한항공 총수 일가에 대한 논란에 대한항공과 미국 델타항공의 조인트벤처(JV) 출범까지 삐그덕거리고 있다.

29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지난 24일 서울에서 델타항공과 JV 출범 관련 공동 기자간담회를 열기로 했다가 이를 전격 취소했다. 지난달 27일 국토교통부로부터 인가받은 JV 출범에 관한 구체적 계획을 알리기 위한 자리였지만 기자들에게 일정을 공지하기도 전에 행사가 취소된 것이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스티브 시어 델타항공 국제선 사장 JV 출범 기자간담회 말고도 다른 일정들을 소화하려 방한하려 했지만, 방한을 취소하면서 기자간담회도 무산됐다”며 “다시 일정을 조율해 조만간 기자간담회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오너 일가와 관련한 각종 악재 속에서 행사를 여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판단으로 기자간담회를 취소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관련기사



대한항공-델타 JV는 대한항공이 1년 넘게 공을 들여왔던 사업이다. 지난해 3월 델타항공과 JV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맺었고 그해 6월 정식 협정에 서명했다. 미국 교통부는 작년 11월 JV 설립을 승인했으며 한국 국토부는 지난 지난달 27일 최종 승인 결정을 내렸다.

일각에서는 최근 사태로 출범 기자간담회와 함께 올해 상반기 본격적인 운영을 시작하려던 대한항공-델타항공 JV의 출범 자체가 늦어지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내놓고 있다. 조현민 전무는 물론 조양호 회장과 조원태 사장에 대한 퇴진 압박이 거세지고 있는데다 2014년 ‘땅콩 회항’에 이어 이번 ‘물벼락 갑질’까지 주요 외신에 소개되면서 국제적으로 회사 이미지에 큰 타격을 받았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파문으로 현재 대한항공이 경영과 관련해 어떤 중요한 의사 결정을 내리기가 어려워 시스템이 ‘올스톱’된 상태”라며 “이번 파문을 빨리 극복하지 못하면 중장기적으로 회사 경영에 큰 부담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유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