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文대통령 올 가을 평양행… 내년엔 서울서 김정은 볼 수 있을까

靑 '가을 평양회담 확정' 간주

文, 임가 4년 남아 수차례 회담 가능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7일 판문점 평화의집에서 열린 환영만찬에서 화기애매한 분위기에서 밝은 표정을 하고 있다./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7일 판문점 평화의집에서 열린 환영만찬에서 화기애매한 분위기에서 밝은 표정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올 가을 평양을 방문하기로 한 가운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내년에 서울을 방문할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두 정상은 지난 4·27 남북정상회담에서 정상회담 정례화에 사실상 합의한 바 있다. 두 정상이 서명한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판문점 선언)에는 정기적 회담과 직통전화를 통해 민족의 중대사를 수시로 진지하게 논의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특히 이번 선언문에는 ‘문 대통령이 올해 가을 평양을 방문하기로 했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29일 기자들을 만나 “다음번 정상회담을 가을에 평양에서 하는 것은 확정됐다고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정상회담 정례화에 대해 “두 분 정상이 대화하면서 평양·서울·제주도·백두산 등 주욱 얘기가 나오지 않았나”라며 “김 위원장도 초청을 받으면 청와대에 오겠다는 의지를 밝혔다”며 사실상 정례화가 이뤄진 것이라는 해석을 내놨다.


올 가을 문 대통령의 평양행이 확정되면서 답방 형태로 김 위원장이 서울을 찾을 것이라는 관측이 벌써 고개를 들고 있다. 4·27 정상회담 당시 문 대통령이 의장대 행렬 도중 김 위원장에게 “청와대에 오시면 훨씬 좋은 장면을 보여드릴 수 있다”고 하자 김 위원장은 “대통령께서 초청해주시면 언제라도 청와대에 가겠다”라고 답한 바 있다.

관련기사



북측 최고 지도자가 남한 땅을 밟은 것은 한국전쟁 이후 이번 4·27 회담이 처음이다. 한국의 수도인 서울이나 혹은 청와대 방문까지 성사될 경우 역사적 의미가 상당히 클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내달 이뤄질 것으로 보이는 북미정상회담 이후 비핵화와 남북관계 개선 등을 위해서는 남북 간 대화가 한층 중요해지는 만큼 자연스레 정상회담 정례화도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남북정상회담 정례화는 문 대통령이 4·27 회담에 임하기 전부터 각별하게 관심을 둔 사안이었다. 수차례 정상회담을 더 개최될 경우 임기가 4년 이상 남은 문 대통령이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에 필요한 복잡한 문제를 빠른 속도로 풀어갈 수 있는 주요 통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남북은 과거 친서 교환이나 특사 파견처럼 의례적인 형식을 통해 상호의사를 주고받았는데 신속한 의사소통이나 안정적 상황관리가 쉽지 않았다는 지적이 일부에서 제기됐다.

2007년 남북정상회담 당시 정상회담준비위원장이었던 문 대통령은 이미 정상회담 정례화를 강력하게 주장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은 2011년 자신의 저서 ‘운명’에서 당시 북측과의 실무 합의문과 관련해 “우리가 욕심을 냈던 것이 거의 들어가 있었는데 딱 하나 빠진 게 있다면 정상회담 정례화였다”고 적었다. /연유진 기자 economicus@sedaily.com

연유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