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4년제대학 올해 평균등록금 671만원…96%가 동결·인하 방침

185개 대학 공시자료 분석…'학점인플레'에 B학점 이상 70%

2018년 명목등록금 변화 여부·계열별 평균 등록금 현황 /연합뉴스2018년 명목등록금 변화 여부·계열별 평균 등록금 현황 /연합뉴스



올해 4년제 대학의 평균등록금이 671만원으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4년제 일반대학 185곳의 등록금 현황과 학생 성적평가 결과 등을 분석해 30일 공개했다. 분석 대상 학교의 2018학년도 명목등록금(고지서에 나온 금액)은 학생 1명당 평균 671만1,800원이었다. 작년(668만6,800원)보다 2만5,000원(0.4%) 상승했다. 185곳 가운데 177개 학교(95.7%)가 등록금을 동결(165개교)하거나 인하(12개교)했다. 등록금을 묶어둔 대학이 대부분인데도 평균등록금이 높아진 것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문과보다 상대적으로 등록금이 비싼 이과 정원 비율이 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계열별 평균등록금은 의학계열이 학생 1인당 962만9,700원으로 가장 높았다. 예체능계열이 779만6,400원, 공학계열 714만4,900원으로 뒤를 이었고, 자연과학계열이 679만900원, 인문사회계열이 596만6,500원 순이었다. 학생 성적의 경우 지난해 과목별로 B학점 이상을 딴 재학생이 69.8%로 전년(69.6%)보다 0.2%포인트 높아졌다. 10명 가운데 7명은 B학점 이상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공립대학의 B학점 이상 재학생 비율이 73.1%로 사립대(68.9%)보다 높았다. 졸업 성적(평점평균)을 100점 만점으로 환산했을 때 80점 이상인 졸업생(2017년 8월·2018년 2월 졸업) 비율은 90.0%로 전년 대비 0.4%포인트 줄었다.

관련기사



올해 1학기 전임교원의 강의 담당 비율은 65.7%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1%포인트 낮아졌다. 설립 유형별로 보면 국·공립대학(61.5%)은 전임교원 강의 담당 비율이 전년 대비 0.4%포인트 상승한 반면, 사립대학(67.0%)은 0.2%포인트 하락했다. 소재지별로는 비수도권 대학의 전임교원 강의 담당 비율이 68.1%로 수도권 대학(61.9%)보다 6.2%포인트 높았다. 올해 1학기 20명 이하의 소규모 강좌 비율은 38.4%로 지난해 1학기(39.9%) 대비 1.5%포인트 줄었다.

교육부는 이들 대학을 포함해 전문대와 대학원대학 등 418개 대학의 세부 공시자료를 이날 오후 대학알리미에 공시한다.

/한상헌인턴기자 aries@sedaily.com

한상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