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TV·방송

[종합] ‘나물 캐는 아저씨’ 이번엔 나물이 주인공..‘소확행 먹방’ 탄생

‘나물 캐는 아저씨’가 재료에 충실한 ‘소확행’(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 먹방 예능을 추구했다.

/사진=KBS/사진=KBS



30일 오후 4시 서울 마포구 상암동 KBS 미디어센터에서는 KBS 2TV 새 예능 프로그램 ‘나물 캐는 아저씨’ 제작발표회가 개최됐다. 이날 자리에는 박석형 PD, 안정환, 김준현, 김응수가 참석했다.


‘나물 캐는 아저씨’는 나물과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아저씨들이 시골에 내려가 직접 나물을 채집하고 밥상까지 차리는 자연산 힐링 예능. 호젓한 산과 들에서 나물을 캐며 수확의 기쁨을 누리는가 하면 나물로 차린 건강한 밥상을 맛보며 도시인들의 대리만족은 물론 천연 웃음까지 선사할 예정이다.

이날 박석형 PD는 안정환, 김준현, 샘 오취리, 김응수의 섭외 이유로 “처음에 ‘나물’을 소재로 프로그램을 생각했을 때 나물 캐는 아가씨, 아주머니, 할머니, 총각도 등장했었는데 나물 캐는 아저씨는 없었다. 나물이라는 존재와 가장 멀리 떨어진 존재가 아저씨라 생각했는데 이 프로그램을 통해 나물을 조명하고 싶었다. 나물의 이야기를 전하려면 나물을 가장 잘 모를 것 같은 사람들이 배워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게 낫겠다고 생각했다”라고 밝혔다.

박석형 PD는 예능 프로그램으로서의 재미도 추구해야 하는 부분에 대해 “‘나물’은 자연이 내놓은 걸 우리가 가장 바로 먹을 수 있는 재료더라. 나물도 요즘 많이 재배를 하지만 저희는 정말로 사람의 수고가 들어가지 않은 자연의 식재료로 음식을 해보고 싶었다. 그게 나물인 것 같았다”며 “예능이라는 강박이 있기도 했지만 출연자들의 자연스러운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다. 워낙 서로 케미가 좋아서 ‘힐링 예능’, 개인의 행복을 추구하는 예능과는 다른 톤을 추구하게 됐다. 기존의 버라이어티한 예능과 요즘의 정적인 예능 사이에 있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사진=KBS/사진=KBS


‘나물캐는 아저씨’는 비슷한 자연 속 힐링 예능 프로로 tvN ‘숲속의 작은 집’과 비교될 수도 있다. 이에 박석형 PD는 “결이 다르다. 거기엔 소지섭씨 혼자 나오시며 자급자족을 하며 행복을 찾는다. 우리는 여러 출연자분들이 계시면서 여러 가지 얘기가 나온다”며 “굉장히 다른 분위기가 될 것이다. ‘숲 속의 작은 집’에 대해 경쟁의식은 전혀 없다. 행복을 찾고 조여 있던 마음을 푸는 걸 보여줌으로써 그 마음이 전해지고 싶다”고 전했다.


또한 그는 “예고에서 ‘숲속의 작은 집’과 비슷한 톤과 비슷하다는 얘기도 들었지만, 나물 만으로 티저를 하고 싶었다. 메시지는 나물에 대한 프로그램이다. 불필요한 오해가 있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안정환은 ‘나물캐는 아저씨’를 촬영하며 느낀 점으로 “내 역할은 자연스럽게 묻어나는 것 같다. 역할을 정해놓고 프로그램에 들어가는 건 아니라고 생각했다. 나물을 캐고 지내면서 각자의 역할이 자연스럽게 나눠졌던 것 같다”며 “개인적으로 나물을 알고 싶었다. 촬영하며 느낀 게 많았고 새로 보는 나물도 많이 알았다”라고 말했다.

김준현은 또 먹방을 선보이는 것이냐는 질문에 “어떤 분은 ‘너무 먹는 거 아니냐’고 우려를 하신다. 하지만 나는 확실히 자리를 굳히고 싶다”며 “조물조물한 나물이 주는 기쁨이 있다. 나물은 내가 가장 좋아하는 류의 반찬이다. 애주가 분들은 처음에 센 것을 먹다가 나중엔 슴슴한 것을 찾는다. 나물 먹방으로 자극적이지 않은 디테일한 먹방을 보여줄 수 있다고 생각 한다”라고 대답했다.

김응수는 “일본 유학을 7년 하고 와서 한국TV를 보니까 먹방이 똑같아서 전혀 시청하지 않았었다”라며 “박PD로부터 전화가 와서 아저씨들이 나물을 캐는 프로그램을 한다고 했다. 멤버들이 나물을 캐는 게 신선했다”고 말했다. 이어 “아저씨들이 집에 있으면 밥을 잘 차려먹지 않고 자급자족하지 않았던 것 같다. ‘네 일은 네가 해결하라’는 메시지가 있는 것 같다”고 프로그램의 취지를 설명했다.

‘나물 캐는 아저씨’는 5월 4일 밤 11시 첫 방송 예정.

/서경스타 한해선기자 sestar@sedaily.com

한해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