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백브리핑] 애플 추가 주주환원금 최소 1,000억달러 될듯...대규모 돈풀기 왜?

트럼프 행정부 감세정책에 화답

아이폰 판매둔화 우려도 불식

/로이터연합뉴스/로이터연합뉴스



애플이 5월1일(현지시간) 분기실적 공개일에 맞춰 1,000억달러(약 106조7,000억원) 규모의 추가 주주환원 방침을 발표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30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애플이 당초 올해 3월까지 3,000억달러를 자사주 매입과 배당 등 주주환원에 사용할 계획이었으나 여기에 최소 1,000억달러를 추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월가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모건스탠리는 주주환원금으로 1,500억달러가 추가될 것으로 전망했으며 씨티그룹과 RBC캐피털마켓은 각각 1,000억달러, 800억∼900억달러 증액을 예상했다.


이 같은 월가 예상을 따르면 애플이 지난 2012년 시작한 현금 환원 누적액은 오는 2020년까지 최대 4,500억달러로 증가하게 된다. 애플은 2012년 배당금 지급과 자사주 매입을 재개한 뒤 해마다 300억~500억달러씩 주주환원액을 늘려왔다.

관련기사



백브리핑


애플이 100조원 이상의 대규모 돈 풀기에 나선 배경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감세정책이다.

지난해 말 트럼프 미 대통령이 해외에서 번 현금을 국내로 송금하면 한시적으로 세율을 35%에서 15.5%(비유동자산은 8%)로 낮춰주는 세제개편안에 서명하자 지금까지 세금을 피하기 위해 거액의 현금을 해외에 보관했던 애플이 자금을 미국으로 되돌리면서 거액의 국내 투자와 주주환원에 나선 것이다. 애플은 지난해 12월 현재 2,850억달러 규모의 유동성을 가진 ‘현금 부자’로 트럼프 정부의 감세정책이 나오자 1월에 향후 5년간 3,500억달러를 미국에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2월에는 순현금잔액(현금에서 차입금을 뺀 금액) 1,630억달러를 배당, 자사주 매입, 인수합병(M&A) 등으로 소진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또 아이폰 판매가 급격히 둔화될 수 있다는 시장의 우려를 불식시키려는 의도도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애플 주가는 아이폰 판매둔화 전망 속에 18일부터 열흘 동안 9% 떨어진 상태다. FT는 “애플이 주주환원을 확대하는 것은 세계 스마트폰 판매가 둔화할 것이라는 시장의 우려를 줄이는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