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안 되는 대만 수교국이던 중남미의 도미니카공화국이 대만과 단교하는 동시에 중국과 수교했다. 지난해 6월 파나마가 중국과의 수교를 선언한 지 채 1년도 안 돼 도미니카마저 대만을 등지면서 중남미 국가의 ‘탈대만’ 도미노가 현실화하는 모습이다. 대만은 중국의 전방위 압박으로 국제사회에서 입지가 점점 좁아지고 있지만 마땅한 외교대책이 없어 전전긍긍하고 있다.
1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왕이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이날 미겔 말도나도 바르가스 도미니카 외교장관과 중국 베이징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수교수립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양국은 성명에서 “양국 국민의 이익과 염원에 따라 수교 공동성명에 서명한 날부터 대사급 외교관계를 맺는다”고 밝혔다.
왕 국무위원은 이날 공동 기자회견에서 “양국 정부는 하나의 중국 원칙을 견지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도미니카는 “세계에 오직 하나의 중국이 있으며 중국 정부가 유일한 합법정부”라고 인정하며 대만과 외교관계를 단절한다고 밝혔다. 중국 매체들은 도미니카가 이번 수교 발표에 앞서 중국으로부터 250억달러의 지원을 받았다고 전했다.
도미니카의 이번 결정으로 대만 수교국은 19개국으로 줄었다. 차이잉원 대만 정부 출범 이후 양안(중국과 대만) 간 갈등수위가 고조되는 가운데 중국이 대만 외교의 버팀목인 중남미에 대한 공세를 강화하면서 대만의 외교입지는 점점 옹색해지는 모습이다. 현재 대만 수교국 중 절반인 10개국이 중남미에 몰려 있다.
이런 가운데 도미니카와의 단교는 니카라과·파라과이 등 인근 중남미 국가와의 수교관계마저 흔들어놓을 수 있다. 특히 최근 중국과 바티칸 간 국교수립 가능성이 커지면서 가톨릭 국가인 남미국가들이 대만과 ‘도미노 단교’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힘을 얻는 분위기다. 도미니카의 이번 대중국 수교에 앞서 지난해 6월에는 파나마도 대만과의 수교를 중단하고 중국과 공식 외교관계를 시작한 바 있다.
대만 총통부는 “도미니카가 중국 당국의 금전외교 공세로 중국과 수교 결정을 내린 데 대해 유감의 뜻을 밝힌다”며 “대만은 절대 중국의 압력에 굴복하지 않고 국가이익 수호에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논평했다. 대만은 특히 중국이 전통적인 대만 우호지역인 중남미에 대한 자금공세로 탈대만 압박을 가하는 데 강한 불만을 표시했다. 대만 총통부는 “중국 당국의 지속적인 원조를 통한 유인·협박이 대만과 수교국 간 우의를 해치고 있다”며 “중국의 지속적인 압박이 대만의 이익과 생존발전에 대한 위협을 목표로 삼은 만큼 대만 전체가 이에 맞서 일어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국은 지난 2013년 감비아가 대만과 단교했을 당시만 해도 대만 집권당인 국민당과의 관계를 의식해 3년이 지난 뒤에야 감비아와 정식 국교를 맺었지만 민진당 정부가 들어선 후에는 대만 단교와 중국 수교를 동시에 발표하며 전방위 압박을 가하고 있다. 차이 총통은 부임 직후 지난해 1월 온두라스·니카라과·과테말라·엘살바도르 등을 순방하며 단교 도미노를 막기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지만 뚜렷한 성과를 내지는 못하고 있다.
중국은 대만 수교국은 물론 비수교국에도 ‘하나의 중국’ 원칙을 앞세워 현지 대표처의 명칭 변경을 요구하는 등 대만 고립화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 대만중앙통신은 최근 요르단이 대만 대표처인 ‘중화민국 상무사무처’의 명칭을 ‘타이베이 경제문화사무처’로 변경하라는 요구를 받았다고 전했다.
중국이 중남미 지역에서 수교국을 늘려나가는 행보는 미중 갈등관계와 맞물린 대미 압박행보의 일환으로도 해석된다. 미국의 턱밑인 카리브해 연안과 중남미 국가에 대한 적극적인 경제지원으로 미국에 대한 우회적 견제에 나서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은 지난해 말 카리브해 그레나다에 수조원 규모의 경제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했고 니카라과에서는 중국 기업이 오는 2020년 완공을 목표로 대운하를 건설하고 있다.
/베이징=홍병문특파원 hbm@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