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롯데마트 "1인가구·소가족화에 '미니과일' 매출 늘어"




1인 가구가 늘어나고 가족 구성원의 수도 줄어들면서 대형마트에서 팔리는 과일도 ‘미니 과일’ 혹은 소용량 제품 등으로 중심이 이동했다..


2일 롯데마트에 따르면, 지난 2015년부터 작년까지 수박 매출을 분석한 결과 1.5~4㎏으로 작은 크기의 ‘미니 수박’이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해 7.6%로 3년 사이 2배 가까이 늘었다. 일반 수박을 절반 내지 4분의1 크기로 자른 조각 수박의 매출 비중은 같은 기간 4.8%에서 6.9%로 늘었다. 롯데마트 측은 “1인 가구의 증가와 소가족화 등으로 인해 한 번에 다 먹을 수 있는 크기의 과일을 선호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또한 껍질이 얇아 음식물 쓰레기가 적게 나오는 과일을 구매하려는 수요도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미니 수박은 일반 수박보다 껍질이 얇아 칼로 깎아 먹을 수 있을 정도다.

관련기사



간편히 먹을 수 있는 과일의 매출도 늘고 있다. 바나나·딸기·감귤 등 칼 없이 먹을 수 있는 과일류가 매출 순위 1~3위를 차지했고, 사과는 매출 비중이 꾸준히 줄고 있다고 롯데마트 측은 전했다. 바로 섭취할 수 있도록 깎아져 있거나, 음료 등을 만들어 먹을 수 있는 컵과일·냉동과일 매출도 각각 지난해 전년대비 15.2%, 18.5% 늘었다.

롯데마트 측은 3일부터 9일까지 미니 수박과 조각 수박을 할인 판매한다. 서울역점, 잠실점 등 전국 50개 점포에서는 고령 등에서 재배한 ‘애플 수박(사진·1.5~2㎏)’을 7,900원에 판매한다.또한 올 한 해 작은 수박 물량 비중을 전체 수박 물량의 10% 이상 늘려나갈 계획이다. 송태경 롯데마트 과일MD(상품기획자)는 “과거에는 8~10㎏ 가량의 큰 수박을 가족 모두가 둘러앉아 먹는 것이 여름을 나는 방법 중 하나였지만, 최근 들어서는 1인 가구, 맞벌이 등이 늘며 한 번에 먹을 수 있는 작은 수박을 선호하고 있다”며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것은 물론, 남아서 버리는 음식물 쓰레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인기의 요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