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철강 9개 품목, 대미 쿼터 채워 올해 추가수출 불가

국내 철강업체간 쿼터 배분기준 확정못해 혼란도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은 54개 철강 품목별로 쿼터 수량을 명시하고 올해 쿼터를 이미 채운 품목은 미국으로 수입이 불가능하다고 밝혔다./연합뉴스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은 54개 철강 품목별로 쿼터 수량을 명시하고 올해 쿼터를 이미 채운 품목은 미국으로 수입이 불가능하다고 밝혔다./연합뉴스



우리나라가 미국에 수출하는 철강 품목 중 일부는 이미 쿼터(수입할당)를 채워 올해 추가 수출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확장법 232조’ 포고문을 이행하기 위한 세부 통관 절차를 최근 공지했다. CBP는 54개 철강 품목별로 쿼터 수량을 명시하고 올해 쿼터를 이미 채운 품목은 미국으로 추가 수입이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추가 수입이 불가능한 품목은 총 54개 품목 중 9개다. 파일용 강관은 할당된 4,807t을 이미 수출했다. 방향성 전기강판도 7,505t 쿼터를 소진했다. 스테인리스 냉연(괄호 안은 품목별 쿼터·1,649t), 스테인리스 주단강 잉곳(215t), 스테인리스 평철 선재 및 비정형제품(3만2,914t), 봉형강류중 앵글과 섹션 일부 제품(1,150t), 공구강(849t) 등도 올해 더 수출하지 못한다. 일반강 평철, 열간압연제품 2개 품목은 대미 수출실적이 없어 배정받은 쿼터가 없다.

관련기사



우리나라에 배정된 연간 쿼터는 2015∼2017년 대미 평균 수출량인 383만t의 70%인 263만t이다. 9개 품목의 연간 쿼터 물량은 총 4만9,000t이며 이는 전체 쿼터 263만t의 1.9%에 불과한 수준이라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품목별로 차이가 있으나 올해 들어 4월 20일까지 통관 기준으로 쿼터의 34.6%에 해당하는 물량을 미국에 수출했다.

미국 정부는 특정 분기에 물량이 집중되는 것을 막기 위해 연간 쿼터 외에 분기별로도 철강 수입량을 제한했다. CBP는 특정 분기에 연간 쿼터의 30%를 초과하는 철강을 수입할 수 없다고 규정했다. 이에 따라 국내 철강업체가 이미 선적한 물량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2분기에 이미 연간 쿼터의 30%에 해당하는 철강을 수출했다면 이를 초과하는 물량은 통관을 거치지 못하고 다음 분기까지 창고에 보관하거나 다른 국가로 돌려야 한다.

특히 아직 국내 철강업체 간 쿼터 배분기준을 확정하지 못한 상황에서 혼란이 더욱 커질 수 있다. 한 기업이 2분기에 분기별 품목 쿼터를 소진할 경우, 같은 품목을 수출하는 다른 기업은 연간 쿼터가 남아있더라도 다음 분기까지 기다려야 한다. 반대로 특정 분기에 수요가 없어 쿼터를 소진하지 못해도 다음 분기로 이월하지 못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산업부는 이런 문제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미국과 세부 쿼터 이행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
/박신영인턴기자 wtigre@sedaily.com

박신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