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JY, 中 4대 스마트폰·세계 1위 전기차 업체와 협력 논의

김기남·진교영 등 최고경영진 대동

中 4대 스마트폰기업 회장과 만나

반도체·디스플레이 경쟁력 설명

중국 IT업체와 협업 급물살 전망

전기차 업체 BYD 회장과도 면담

중국을 방문 중인 이재용 삼성전자(005930) 부회장이 현지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 대표들과 연쇄 회동했다. 왕촨푸 BYD 회장을 비롯해 런정페이 화웨이 회장, 레이쥔 샤오미 회장, 선웨이 BBK(비보 모기업) 최고경영자(CEO) 등 모두 중국 IT업계의 거물들이다. 이 부회장은 이들을 만나 전장·부품 등 신성장 산업에서의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 1위인 삼성전자와 세계 최대 IT 고객사인 중국 업체 간의 협업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전망된다.

4일 삼성전자와 업계에 따르면 이 부회장이 중국 IT업계 거물들에게 삼성의 반도체·디스플레이 경쟁력을 설명하며 중장기 협업 방안을 제안했다. 이들은 모두 글로벌 IT 시장에 막강한 영향력을 미치는 인물로 왕 회장은 세계 최대 전기차 업체를 이끌고 있고 런 회장, 레이 회장, 선 CEO 등은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의 강자다.


이 부회장이 중국 IT업계 대표들과 나눴을 이야기는 삼성 측 참가자 면면을 통해서도 짐작할 수 있다. 이 부회장은 김기남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장, 진교영 메모리사업부장, 강인엽 시스템LSI사업부장, 이동훈 삼성디스플레이 사장 등 최고 경영진을 대동했다. 업계 관계자는 “완전한 이재용 시대의 인물들과 중국 측 IT 거물들의 상견례 같은 모습이 연출됐다”며 “삼성과 중국 업체 간 중장기 협업을 진행하기에 최적화된 만남이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이 부회장은 이들 CEO에게 “삼성전자 반도체 탑재를 늘려달라”는 제안을 했을 것으로 관측된다. 현재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은 중저가 이미지를 벗으려 고사양 프리미엄 스마트폰을 출시 중이다. IT업계 관계자는 “64GB 낸드플래시면 충분했던 소비자 니즈는 256GB 등으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고 듀얼 카메라, 홍채 인식 등의 등장으로 이미지센서도 더 많이 필요해졌다”면서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 선두인 삼성전자와 빠르게 성장 중인 중국 스마트폰 업체가 나눌 수 있는 사업 이야기는 무궁무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동차 부품 공급 관련 논의도 급물살을 탔을 것으로 분석된다. 자동차 전자장비(전장) 사업을 일찌감치 미래 먹거리로 삼아 전장 업체 하만을 인수한 이 부회장은 이번에 세계 최대 전기차 업체 BYD의 왕 회장을 만났다. 삼성전자는 2016년 BYD가 실시한 유상증자에 참여해 지분 2%가량을 보유했을 정도로 BYD에 대한 관심을 보인데다 자동차용 반도체 및 부품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방추돌경보·차선이탈경보 등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 관련 각종 센서를 비롯해 메모리 반도체, 차량용 중앙처리장치(AP), 내비게이션, 오디오, 텔레매틱스 등 수만개의 부품 관련 협업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판매 중인 현재형 제품뿐만 아니라 자율주행차, 롤러블 스마트폰 등 다양한 미래형 제품 관련 이야기도 나눴을 것”이라며 “이 부회장의 구속 기간 동안 단절됐던 중국 네트워크 복원에도 힘쓰는 것 같다”고 전했다.


신희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