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로또 아파트' vs 올해 44%는 청약 미달… 아파트 분양 양극화 심화

시세차익 기대 단지는 수만명 청약에 '수백 대 일'

입지 여건 떨어지고 공급과잉 지역은 미달 사태

‘하남 포웰시티’ 견본주택 찾은 예비청약자들 / 사진제공=현대건설‘하남 포웰시티’ 견본주택 찾은 예비청약자들 / 사진제공=현대건설



큰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는 이른바 ‘로또 아파트’는 최고 수백 대 일의 경쟁률을 기록하는 반면 절반 가량의 아파트 분양단지는 미달을 기록하는 등 아파트 청약 시장이 극심한 양극화를 보이고 있다.

7일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올 들어 5월 현재까지 전국에서 분양된 민영아파트는 총 128개 단지로, 이 가운데 1순위에서 청약이 마감된 단지는 41.4%인 53곳에 불과했다. 2순위에서 마감된 곳은 18개 단지(14.1%)였다. 44.5%인 57개 단지는 2순위에서도 모집가구 수를 채우지 모해 청약이 최종 미달했다. 1·2순위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한 아파트 분양 단지가 거의 절반 가량에 이르지만 분양가가 싸고 입지여건이 양호한 단지는 청약 과열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이달 3일 1순위 청약을 받은 경기도 하남 감일지구의 ‘하남 포웰시티’는 1순위 청약에서 2,096가구(특별공급 제외) 일반분양에 총 5만5,110명의 1순위 통장이 몰렸다. 평균 경쟁률은 26.3대 1이다.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돼 3.3㎡당 평균 1,680만원 선으로 시세 차익을 거둘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다.


억원대의 시사 차익이 예상돼 ‘10만 청약설’이 나돌던 서울 강남구 개포동 ‘디에이치자이 개포’의 경우 정부가 직접 위장전입 직권 조사에 나서는 등 초유의 단속을 펼쳤으나 3만1,000명의 청약자들이 몰렸다. 또 정부 청사 이전 등의 호재가 있는 세종시는 ‘청약 불패’ 신화가 이어지고 있다.

관련기사



전반적으로 부동산 시장이 침체된 지방에서도 주변 시세보다 분양가가 싼 단지는 청약 수요가 몰리고 있다. 지난 1월 삼호가 대구시 중구에서 분양한 ‘대구 e편한세상 남산’은 전용면적 84.86㎡ 70가구 모집에 4만6,853명이 몰렸다. 평균 경쟁률은 무려 669.3대 1에 이른다. 지난달 4일 분양한 대구 북구 복현동 ‘복현자이’도 251가구 모집에 4만3,000여명의 청약자가 몰렸다. 이달 3일 1순위 청약을 받은 전북 전주시 완산구 서신동 ‘서신 아이파크 e편한세상’도 647가구 일반분양에 총 4만1,024명이 청약했다.

반면 아파트 공급이 과잉이거나 입지여건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곳은 수도권이라도 청약 미달이 줄을 잇고 있다. 올초 경기 김포시에서 분양된 김포 한강 금호어울림 2단지와 동일스위트, 남양주 별내지구 우미린 2차 등이 청약 마감에 실패했다. 인근 지역에 신규 분양 물량이 많아 지역 청약 통장을 흡수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또 공급과잉 현상이 우려되고 있는 경기 평택시, 지역경제가 휘청거리고 있는 경남 창원, 미분양이 늘고 있는 충북 청주 등에서 분양된 아파트들이 무더기로 청약 미달했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주택시장의 규제가 심화하면서 시세차익이 가능한 단지에만 청약통장이 몰려드는 ‘쏠림현상’이 더욱 심해지고 있다”며 “인근 지역에 미분양이 많거나 분양가가 높은 단지에는 청약자들이 철저히 외면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신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