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남북회담 이후…"김정은 이미지 긍정적" 응답한 대학생 10배 늘어

국민대생 100여명 설문…북한 부정적 인상 66%→18% 감소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달 27일 판문점 평화의 집 2층 회담장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달 27일 판문점 평화의 집 2층 회담장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연합뉴스



4·27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대학생들의 북한에 대한 생각이 긍정적으로 바뀌고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이창현 교수와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이은영 소장은 남북정상회담 전후로 국민대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온라인 설문조사에 참여한 학생은 만 19∼21세로 사전조사 106명이었으며, 이들 가운데 89명이 사후조사에 응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9.80%p다.


우선 북한 이미지에 관해 정상회담 전에는 66.1%가 ‘부정적’이라고 답했으며, ‘긍정적’이라고 답한 비율은 19.8%에 그쳤다. 그러나 정상회담 사후 조사에서는 57.3%가 ‘긍정적’이라고 답했으며, ‘부정적’ 이미지라는 답변은 17.9%에 불과했다.

관련기사



김정은 위원장의 이미지 변화 폭은 더욱 컸다. 김 위원장이 긍정적인 이미지라는 학생은 정상회담 전에는 단 4.7%에 불과했으나 정상회담 후에는 48.3%로 10배 이상 증가했다. 반면 김 위원장이 부정적 이미지라는 대답은 정상회담 전 87.7%에서 회담 후 25.8%로 대폭 감소했다. 김 위원장에 대한 학생들의 주관적 표현을 보면 사전조사에서는 ‘독재자·핵·잔혹함·고도비만·폭력적·예측 불가능’ 등 부정적 표현이 대다수였으나, 사후조사에서는 ‘솔직·호탕·젊은·유머 있는·귀여운·생각이 트인·새로운’ 등 긍정적 표현이 많았다.

그러나 김 위원장의 이미지에 대해 긍정적이라는 응답과 함께 ‘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사전조사 7.5%에서 사후조사 25.8%로 대폭 증가한 점에도 연구진은 주목했다. 연구진은 김 위원장의 속내를 알 수 없다는 인식도 함께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주관적 표현 조사에서도 ‘연기를 잘한다·무슨 짓을 하려는 걸까’ 등 의구심 어린 표현이 나왔다고 전했다.

이창현 교수는 “이번 남북회담은 대중이 생방송으로 김정은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첫 번째 경험이었다”면서 “역사적 미디어 이벤트로 인해 과거 부정적 고정관념에 새로운 긍정적 이미지가 혼재되는 전환적 순간에 놓인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박신영인턴기자 wtigre@sedaily.com

박신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