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피해자 9,000명 육박

진상조사위 조사결과 발표

정부에 비판적인 예술가와 단체를 사찰·검열하고 지원에서 배제한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의 실제 피해자가 9,000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민관합동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진상조사 및 제도개선위원회’는 8일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가진 ‘진상조사 및 제도개선 결과 종합 발표’ 기자회견에서 블랙리스트로 피해를 본 문화예술인이 8,931명, 단체는 342개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장르별 피해자를 보면 영화가 2,468명으로 가장 많고, 문학 1,707명, 공연 1,593명, 시각예술 824명, 전통예술 762명, 음악 574명, 방송 313명 등이다. 이번 조사결과 발표는 블랙리스트의 전모를 밝히기 위해 작년 7월 말 출범한 진상조사위가 지금까지 10개월 동안 벌인 활동을 종합 정리한 것이다.

진상조사위는 이날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재발을 막기 위한 제도개선 최종 권고안도 발표했다. 진상조사위는 우선 문체부의 장르별 예술 지원 부서를 폐지하고 예술정책 기능을 전담할 법정 독립기관으로서 ‘국가예술위원회’(가칭)를 설립할 것을 권고했다. 이와 함께 표현의 자유 보장과 예술가 권리 보호를 위한 상설적인 협치 기구로서 ‘문화예술인 표현의 자유 및 권리 보장 위원회’를 대통령 직속으로 설치할 것을 권고하고 간행물윤리위원회를 폐지할 것을 권고했다. 아울러 △블랙리스트 사태에 대한 정부의 책임 있는 사과와 책임자 및 가해자에 대한 처벌 △재발방지를 위한 교육 △피해자 명예 회복과 피해 보상 등도 권고했다.


나윤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