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현대모비스 "첨단제품으로 올 中 수주 1조 돌파"

프리미엄 사운드·HUD 등

고부가가치 제품 수주 늘어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과 헤드업디스플레이(HUD)를 생산하는 현대모비스 중국 톈진 공장에서 현지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사진제공=현대모비스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과 헤드업디스플레이(HUD)를 생산하는 현대모비스 중국 톈진 공장에서 현지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사진제공=현대모비스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을 생산하는 현대모비스 중국 톈진 공장에서 현지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사진제공=현대모비스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을 생산하는 현대모비스 중국 톈진 공장에서 현지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사진제공=현대모비스


현대모비스(012330)가 중국의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수렁에서 벗어나고 있다. 비결은 현대·기아차가 아닌 현지 완성차 업체로부터의 대규모 수주다. 현재 수주 규모만 지난해 연간 수주액의 1.5배 수준에 달한다. 올해 중국 시장의 총 수주액은 사상 처음으로 1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모비스는 5월 현재 중국 시장에서 총 4억2,300만달러(약 4,600억원) 규모의 수주를 올렸다고 8일 밝혔다. 이는 지난 한 해 중국 시장 수주의 1.5배에 이르는 규모다. 최근 3년 수주(2015년 1억4,800만달러, 2016년 1억5,100만달러, 2017년 2억8,900만달러)와 비교하면 호조세가 확연히 드러난다.


이 같은 수주증가는 현지 완성차 업체에 고부가가치의 첨단 제품을 공급하는 데 성공한 덕분이다. 현대모비스는 최근 중국의 5대 완성차 업체 중 한 곳과 2억달러 규모의 프리미엄 사운드시스템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해당 시스템은 차종당 평균 8채널의 최고급 엠프와 12개의 스피커로 구성된 것으로 이 업체는 오는 2020년부터 주요 차종에 현대모비스 제품을 탑재할 계획이다.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인 IHS리서치에 따르면 2015년 기준 약 10억 달러 규모였던 전 세계 차량용 프리미엄 사운드 시장은 2021년까지 연평균 5% 이상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현대모비스는 또 다른 중국 현지 완성차업체와 3,500만달러 규모의 헤드업디스플레이(HUD) 공급 계약도 체결했다. 이번에 수주한 HUD는 별도의 패널 없이 곧바로 전면 유리에 표시되는 시스템으로 현대모비스가 독자 개발한 것이다. 현대모비스는 이를 주력 제품으로 집중 육성해 중국 시장 공략을 강화할 방침이다. 중국 완성차 업체들은 현재 일부 고급 차량에만 적용했던 HUD를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등 대중 차량으로 확대하는 추세라 시장 전망도 밝다.

현대모비스는 올해 연간 수주로 10억7,000만달러(약 1조1,500억원)를 예상하고 있다. 지난해 수주액의 4배 수준에 이르는 규모다. 중장기적 목표는 전체 매출의 40% 이상을 현대·기아차가 아닌 글로벌 완성차 업체를 통해 달성하는 것이다. 2022년 해외 수주 목표치는 100억달러로 잡았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독자적인 기술력 확보로 글로벌 고객사들과의 협력 관계자 공고해지고 있다”며 “중국은 물론 북미와 유럽·일본 시장에서도 고부가가치 제품의 대규모 수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조민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