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GM 한국서 부품 조달 확대한다

산업부·GM 10일 자동차 산업발전 MOU

정부 산경장 열어 경영정상화 방안확정

제너럴모터스(GM)가 우리나라에서 부품 조달을 확대하기로 했다. 우리 정부가 한국GM 정상화에 기여하는 만큼 GM도 국내 자동차 산업발전을 지원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8일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산업부는 GM과 이 같은 내용을 뼈대로 한 ‘산업부-GM 간 자동차산업 발전 협력 MOU’를 10일 체결한다.


행사에는 백운규 산업부 장관과 베리 앵글 GM인터내셔널(GMI) 사장, 카허 카젬 한국GM 사장 등이 참석한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글로벌 GM이 한국GM을 통해 한국산 부품을 조달하는데 그걸 확대하는 등의 내용이 담길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정부는 또 10일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한국GM 경영정상화 방안을 최종확정한다. 정부는 이 회의에서 한국GM에 대한 최종 실사 결과를 확인 후 GM에 법적 구속력이 있는 금융제공확약서(LOC)를 발급할 예정이다. 앞서 산업은행은 지난달 26일 한국GM에 70억5,000만달러(약 7조6,000억원)의 자금을 투입하고 생산시설 10년 이상 유지와 산업은행의 비토권 유지 등의 내용을 담은 경영정상화방안에 대해 GM과 조건부 합의했다. 산업은행은 이후 정부 추인을 받아 GM에 조건부 LOC를 발급한 바 있다.

조건부 합의안에 따르면 한국GM에 대한 총 투입 자금 70억5,000만달러 중 GM은 63억달러(6조8,000억원), 산업은행은 7억5,000만달러(8,100억원)를 각각 부담하기로 했다. GM은 신규투자액(뉴머니)으로 당초 제시한 23억달러보다 13억 달러 증액한 36억 달러를 투입하되 GM그룹의 한국GM 앞 기존 대출금 27억달러는 전액 출자전환하기로 했다. 산업은행의 투자액은 전액 뉴머니로 지분율, GM의 장기경영유지, 비토권 등과 연계해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산업은행이 GM의 한국시장 철수를 막을 비토권도 주주 간 계약서에 넣기로 했다. 이는 정부·산업은행의 동의 없이 GM이 한국시장을 떠날 수 없는 효과가 있다. 한국GM 정관상 주주총회 특별결의사항에 대한 비토권도 유지될 전망이다.

이날 산경장에서는 GM 측의 요구사항인 외국인투자지역 지정 문제에 대한 경과보고도 이뤄질 계획이다. 바뀐 투자계획에 따라 외투지역 지정도 GM측의 서류 보완 뒤 재심사가 이뤄진다.
/세종=김상훈·임진혁기자 ksh25th@sedaily.com

김상훈·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