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연중기획 Safe Korea] “나 하나쯤은” 안전불감증…‘안전보안관’이 뿌리뽑는다

불법 주정차·비상구 폐쇄 등

생활 속 안전위협 신고 장려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된 ‘안전보안관 발대식’에서 김부겸(둘째줄 가운데) 행정안전부 장관과 전국 안전보안관들이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행안부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된 ‘안전보안관 발대식’에서 김부겸(둘째줄 가운데) 행정안전부 장관과 전국 안전보안관들이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행안부



“안전을 무시하는 잘못된 관행을 찾아서 신고하고 선진 안전문화 운동에 적극 참여해 안전한 사회,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겠습니다.” 8일부터 ‘안전보안관’으로 활동을 시작하는 정용득(52·경기도 구리시)씨는 이렇게 당찬 각오를 내비쳤다.

불법 주정차나 건물 비상구 폐쇄, 과속·과적운전 등 생활 속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를 적극적으로 신고하는 ‘안전보안관’이 활동을 시작했다. 행정안전부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재난·안전 관련 단체 대표 등 4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안전보안관’ 발대식을 가졌다. 안전보안관들은 앞으로 생활 속 안전위협 행위에 대한 공익신고 등 안전문화운동을 확산한다.

김부겸 행안부 장관은 “안전한 나라를 위해 위해요소를 물리치는 활동이기에 ‘보안관’이라는 이름을 붙였다”며 “안전문화 정착이 어렵고 시간이 걸리는 것이라고 지레 포기하지 말고 나부터 시작한다는 자세로 활동해 달라”고 당부했다.


안전보안관은 이번에 국내 처음으로 도입되는 것이다. 예방적 안전신고 및 점검에 대해 공무원 뿐만 아니라 민간의 역할도 확대하는 차원에서 시작됐다. 고질적 안전 무시 관행 등 안전위협 행위를 찾아서 안전신문고 앱 등을 통해 신고하고 중앙정부·지자체 등의 안전점검 활동에 동참하게 된다.

관련기사



일단 이날 임명된 안전보안관은 통·반장과 재난·안전 분야 민간단체 회원 등 지역 여건을 잘 알고 있는 활동가 및 전문가 위주로 뽑혔다. 시·군·구별로 40명 내외로, 화재·교통 등 다양한 생활안전 분야를 고려해 구성됐다.

안전보안관은 행안부 주관 순회교육이나 시·도 자체 교육을 통과한 후 행안부 장관 이름의 수료증을 받게 된다. 행안부는 앞으로 학교나 기업체, 일반 국민도 안전보안관으로 활동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한편 행안부는 올해 반드시 근절해야 할 ‘7대 안전 무시 관행’으로 △불법 주정차 △비상구 폐쇄 및 물건 적치 △과속·과적운전 △안전띠 미착용 △건설현장 보호구 미착용 △등산 시 화기·인화물질 소지 △구명조끼 미착용 등을 꼽았다.

행안부 관계자는 “안전보안관을 통해 공익 신고가 보다 활성화되고 안전문화운동에 대한 국민적 참여 분위기가 조성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