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정보

【단기 급등株】 '이란 핵협정' 최대 수혜株

- 이란 핵협정 앞두고…유가 급등에 흔들린 화학·정유株

- '지정학적 리스크' 단기 급등은 펀더멘털 영향 제한적


☞ 【단기 급등株】 '이란 핵협정' 최대 수혜株 (확인)

국제유가가 배럴당 70달러선을 돌파하면서 화학·정유 관련주가 일제히 하락했다. 이란 핵협정 파기 가능성에 유가가 급등하면서 유가 민감주 투자심리가 흔들렸다. 8일 증시에서 LG화학(051910)은 전 거래일보다 3.08%(1만500원) 내린 33만500원에 마감했다. 한화케미칼은 2.67%, 금호석유는 2.76% 내리며 화학업종이 동반 하락했다.

정유주 S-Oil과 GS도 각각 1.85%, 0.33% 씩 하락 마감했다. 철강주인 POSCO도 2.31% 내린 35만9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오는 12일 이란 핵협정 폐기 시기가 다가오면서 국제유가가 배럴당 70달러를 돌파, 유가 급등 공포가 주가를 끌어내렸다. 전문가들은 미국이 12일 이란 핵협정에서 제재에 나선다면 유가 변동성이 더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 【특징주】 남북 경협주 15개... 올해 62% 급등... 급등 테마주 TOP 10 (확인)

관련기사



7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6월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일대비 배럴당 1.01달러(1.5%) 상승한 70.73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2014년 11월 이후 배럴당 70달러선을 넘은 건 이번이 처음이다. 증시에서 유가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업종은 정유 화학 철강 조선 등 소재·산업재다. 유가 상승은 소재·산업재 업종에 호재로 인식되는 경우도 있지만 실제 과거 사례를 돌이켜보면 오히려 주가 하락으로 이어진 적이 더 많다는 분석이 나온다.

SK증권이 △1990년 걸프전 △2003 년 미국의 이라크 침공 △ 2008 년 이란 핵 제재 △2011 년 리비아 사태 등 지정학적 리스크로 국제 유가가 급등했던 사례를 조사한 결과, 유가 상승을 앞둔 관련업종 주가는 일제히 하락하는 흐름이 나타났다. 과거 네 번의 사례 가운데 현 상황과 가장 유사하다고 볼 수 있는 2008년 이란 핵제재 당시를 살펴보면 3개월만에 유가는 46% 급등했고 사상최대치인 배럴당 150달러까지 기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당시 이벤트 발생 후 2주동안 건설 조선 정유 화학 철강주 주가는 20% 가까이 동반 하락했다.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는 약 8% 하락했고 태양광에너지 업종은 상승했다. 손지우 SK증권 연구원은 "과거 사례에서 볼 때 유가 급등 당시 소재·산업재 주가는 일제히 하락했고 유가 강세가 호재인 건설과 조선주도 예외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부분 업종은 이벤트 발생 직후 2주동안 하락 폭이 크게 나타났다가 8주차 쯤 반등하면서 하락 폭을 만회하는 흐름을 보였다"며 "지정학적 리스크에 의한 단기 유가 급등은 일회적 이슈로 펀더멘털과 달리 주가에 미치는 영향도 일시적"이라고 평가했다.

☞ 【바이오株】 '美 FDA 승인' 저평가 바이오株 (확인)

오늘의 관심 종목

LG화학, 이화전기(024810), 큐로컴(040350), 큐로홀딩스(051780), 현대로템(064350)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