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세월호 잊었나…작년 3,000척 해상조난사고 '역대 최다'

사고원인 96%가 人災…작년 사망자수 83명 2014년 이후 최대

지난해 발생한 해상 조난 사고가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출처=연합뉴스지난해 발생한 해상 조난 사고가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출처=연합뉴스



지난해 발생한 해상 조난 사고가 역대 최다였다. 사고의 90% 이상이 인재(人災)였고 사망자 수도 세월호 참사 이후인 2014년 후 가장 많았다.

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올라온 해양경찰청의 ‘해상조난사고통계’에 따르면 지난 해 해상 조난 사고를 당한 선박은 2016년 2,839척보다 11.3% 증가한 3,160척이었다. 이는 집계가 시작된 1993년 이후 가장 많은 기록이다. 해당 통계는 전국 18개 해양경찰서가 인지하거나 신고 접수된 사고를 정리한 자료다.


1993년 510척이던 해상 조난 사고는 2008년까지 1,000척을 밑돌다가 2009년 1,921척으로 대폭 상승했다. 이후 꾸준한 감소세를 보이던 사고는 2014년 1,418척으로 반등, 2015년 2,740척을 기록해 처음으로 2,000대 궤도에 올랐다. 올해는 사상 처음으로 3,000척을 넘겼다.

조난 사고 유형에는 기관손상이 925척으로 가장 많았고, 충돌 426척, 부유물 감김 399건, 추진기 손상 254건 등이 이어졌다. 사고원인을 살펴보면 정비 불량이 1,366척으로 가장 많았으며 운항 부주의 1,042척, 관리소홀 330척, 연료 고갈 88척, 화기 취급 부주의 65척 등이 뒤를 이었다.

기상악화로 사고에 휘말린 선박은 전체의 3.8%인 120척뿐으로 나머지 96.2%가 사실상 인재였다. 전체 사고의 90%인 2,843척 사고가 기상 상황 ‘양호’일 때 발생한 점을 고려할 때, 사고 대부분은 예방 가능했다.


작년 조난 사고의 피해를 입은 인원은 1만7,336명으로 2016년보다 13.9% 감소했다. 선박에 탑승한 인원이 상대적으로 적었다는 의미다. 조난 사고에 휘말린 인원이 가장 많던 해는 2만145명을 기록한 2016년이었다.

관련기사



다행히 조난 사고 대부분에는 구조 손길이 닿았다. 지난해 구조 성공 선박은 3,102척으로 인원은 1만7,228명이었다. 구조율(발생 대비 구조)을 보면 선박은 98.2%로 역대 가장 높은 수준이었고, 인원은 99.4%로 역대 최고던 2016년 99.5%에 근접했다.

그러나 구조율이 높았어도 사망자 수는 심각한 수준이었다. 지난해 해상 조난 사고 사망자 수는 83명으로 2016년(48명)보다 72.9% 증가했다. 사망자 수는 세월호 참사가 벌어진 2014년 397명 이후 2015년 77명, 2016년 48명으로 감소세였지만 지난해 반등했다.

지난해 조난 사고로 실종된 이는 25명으로 2016년(50명)보다는 50% 감소했다. 이 역시 세월호 참사가 벌어진 2014년에 88명으로 역대 최다였다.

‘해상조난사고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1993년 당시 서해훼리호 참사가 일어났다. 당시 사고 기록은 사망 333명, 실종 100명을 기록해 두 번째로 인명피해가 많던 해다. 서해훼리호는 1993년 10월 10일 부안군 위도면 파장금항을 출발한 직후 침몰한 사건이다.

/이서영인턴기자 shyung@sedaily.com

이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