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분양

'로또 아파트' 열풍에 청약통장 가입자 급증

지난 3월 20여만명 늘어

정부의 전방위 부동산 규제로 기존 주택시장 거래는 침체하는 반면 신규 분양 아파트로는 수요가 몰리면서 올 들어 청약통장 가입자 수도 급증하고 있다.

9일 금융결제원의 청약통장 가입자수 통계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청약통장 가입자수는 총 2,346만5,285명으로 전월 대비 20만2,060명이 증가했다. 2015년 9월 청약저축과 청약 예·부금의 가입이 중단되고 주택청약종합저축으로 신규 가입이 일원화되면서 다음달인 10월 한 달간 23만8,825명이 몰린 이후 월별 가입자 증가수로는 최대치다. 올해 들어 월별 가입자수 증가폭도 가파르다. 1월에 작년 말 대비 14만84명 늘었고 2월은 19만1,261명 늘어난 데 이어 3월에는 20만명을 넘겼다.


기존 청약통장의 기능을 모두 합친 일명 ‘만능 통장’인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수도 3월 말 기준으로 전달보다 21만2,757명 늘어난 2,151만8,980명을 기록했다. 이 역시 2015년 10월 25만5,520명 증가 이후 월별 최대 증가치다. 2016년 3월(15만8,374명)과 지난해 3월(17만9,379명) 등 예년 동기와 비교해도 증가폭이 크다.

관련기사



이처럼 최근 청약통장 가입자수가 급증한 것은 새 아파트 청약이 무주택자들의 내 집 마련 방법으로 가장 안전하다는 인식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정부의 재건축 규제, 양도소득세 중과 등의 여파로 기존 주택시장이 침체하면서 새 아파트 청약시장으로 수요자들이 집중된 것이다. 특히 서울을 비롯한 일부 수도권 지역의 경우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사실상 분양가를 통제해 청약 당첨만 되면 수억원의 시세차익을 누릴 수 있는 ‘로또 아파트’가 대거 나타나 청약통장 가입을 늘린 주요 배경으로 지목된다.

한 시중은행 부동산투자지원센터 관계자는 “기존 주택은 지난해부터 가격이 단기간에 많이 올라 매수가 부담스러운 반면 신규 분양 아파트들은 정부의 분양가 통제로 시세보다 공급가가 낮게 책정돼 시세차익이 예상된다는 점이 청약 수요 증가로 이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재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