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 송환 미국인 3인은 누구]모두 한국계 간첩국가전복적대행위 혐의로 체포

김동철, 목사로 최장 2년 억류

김상덕, 나진 등서 보육원사업

김학송은 농업기술 보급 활동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북한 방문으로 풀려나게 된 미국인 3명은 김동철(64), 김상덕(미국명 토니 김·59), 김학송씨로 모두 한국계다. 각각 간첩·국가전복음모·적대행위 혐의로 노동교화형을 치렀다.

김동철씨는 목사로 세 사람 중 최장 기간인 2년 반 동안 북한에 억류돼 있었다. 김 목사는 지난 2015년 10월 북한 함경북도 나선에서 체포됐으며 그 후 3개월 만인 2016년 CNN방송이 그와의 인터뷰 방송을 내보내면서 억류 사실이 알려졌다. 자신을 미국 국적으로 소개한 김 목사는 2015년 10월 전직 북한 군인으로부터 이동식저장장치(USB)와 사진기를 넘겨받는 과정에서 북한 당국에 붙잡혔다고 말했다. 김 목사는 미국 버지니아주 페어팩스에 살았으며 2001년 중국 연변 조선족자치주 주도인 옌지로 넘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옌지에서 북한 함경북도 나선시로 통근했고 국제무역과 호텔업을 하는 회사의 사장으로 일했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김 목사에게 간첩과 체제전복 혐의를 적용해 2016년 4월 노동교화형 10년을 선고했다.


김상덕씨는 지난해 4월 북한에 체포됐다. 그는 나진·선봉 지역에서 보육원 지원사업을 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또 2010년 개교한 평양과학기술대도 자주 방문해 회계학을 강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지난해 4월에도 평양과기대 방문 일정을 마치고 평양국제공항에서 중국행 비행기를 타기 위해 수속을 밟던 중 북한 당국에 체포됐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지난해 5월3일 ‘적대행위를 감행한 미국 공민을 억류’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그의 체포 사실을 확인하고 그가 “체류기간에 우리 국가를 전복하려는 적대적인 범죄행위를 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김학송씨는 지난해 5월 평양역에서 체포됐다. 당시 그는 중국 단둥에 있는 자택으로 귀가하다가 적대행위를 했다는 이유로 평양역에서 체포됐다. 그는 2014년부터 평양과기대에서 농업기술을 보급하는 활동을 해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은 지난해 5월 7일 “평양과학기술대 운영 관계자로 사업하던 미국 공민 김학송을 반공화국 적대 행위를 감행한 혐의로 억류했다”고 보도했다. 김학송씨의 경우 나이 등 신상과 활동경력 등 개인정보가 상대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다.

이들 한국계 미국인 3명이 북한에 억류돼 있는 동안 어떤 처우를 받았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전해진 바가 없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들이 모두 건강하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해 6월 석방된 오토 웜비어는 뇌사 상태로 귀국해 같은 기간 북한에 억류된 미국인 3명의 건강상태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 바 있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