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대기업 근로자 절반은 ‘호봉제’…무임승차 문제 심각

한경연, "직무·능력 중심의 임금체계 개편 조속히 추진돼야"

주요 대기업 근로자의 절반은 근속연수와 연령 등에 따라 기본급이 오르는 호봉급을 적용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근로자 300인 이상인 주요 대기업을 대상으로‘2018년 주요 대기업 임금체계 현황’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기업의 근로자 39만 8,915명 중 51.2%는 호봉급을 적용받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업무 수행 능력에 따른 직능급을 받는 근로자는 36.2%, 직무 성격 및 난이도에 따른 직무급을 받는 근로자는 4.4%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에 응한 대기업 170개사 중 호봉급이 있는 곳은 119개사였다.


직종별로 기본급 유형을 살펴보면 사무직과 연구직에서는 직능급이 각각 61.2%, 54.0%로 가장 많았으며, 생산직과 판매·서비스직에서는 호봉급이 각각 84.7%, 50.0%로 가장 많았다.또 평사원급은 모두 호봉제를 적용받는 것으로 조사됐으나 관리자급은 직능급(71.4%)을 적용 받는 경우가 많았다.

관련기사






대기업들은 이 같은 호봉제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장기근속자 고용유지 부담(42.9%)을 들었다. 이어 성과관리 어려움(36.1%), 경기변화에 능동적 대응 어려움(11.8%) 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많았다. 또 현 호봉제 중심의 임금체계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으로는 무임승차(50.6%)라고 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이에 설문조사에 응한 대기업 중 절반 이상인 58.8%가 올해 성과 중심의 보상체계를 확대하는 것이 임금체계 관련 중점 추진 사항이라고 답했다.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장은 “대기업 근로자의 절반이 호봉급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해외 유수기업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능력·직무, 성과 중심의 임금체계로 전환해 생산성을 높여야한다”며 “정부가 ‘일자리정책 5년 로드맵’의 핵심과제로 포함한 직무·능력 중심의 임금체계 개편이 조속히 추진되어 사회적 공감대가 빨리 확산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고병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