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도시재생, 지역주민·기업 등 민간주도가 바람직"

도시재생국제컨퍼런스 개최

유럽일본미국 재생전문가 토론

유럽·일본·북미 재상 사례 소개

"스마트 기술 입혀 에너지·비용 절감도 화두"







도시재생사업의 성패는 해당 지역 상황과 주민의 수요에 맞는 재생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맞는 건축 및 기술 해법을 찾아 내는 데 달렸다는 지적이 나왔다. 특히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사업을 위해서는 정부나 지자체 등 관(官)주도가 아닌 지역주민과 건설·전자·정보기술(IT) 대기업과 주도하는 민간 주도가 바람직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토교통부와 국토연구원은 11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재외 한국인 도시재생 및 스마트시티 전문가 초청 ‘2018 도시재생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유럽, 일본, 미국 등의 도시재생 및 스마트시티 관련 전문가들과 SK텔레콤, KT 등 국내 스마트시티 사업 추진 회사 관계자, 에너지 관련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날 주제발표에서는 해외의 스마트시티 기술을 활용한 선진 도시재생 모범사례가 다수 소개됐다. ‘일본의 신 스마트시티 구축전략’을 주제로 주제발표에 나선 최자령 노무라 종합연구소 부문장은 지바현의 카시와노하 스마트 시티, 요코하마의 파나소닉 공장 이적지, 동경역 주변 다이마루유지구, 아키하바라 전자상가 일대 등의 스마트 도시재생 사례를 소개했다.

최 부문장은 “과거 스마트시티 및 이를 활용한 도시재생은 정부, 지자체 중심으로 진행됐으나 이제는 민간 기업이 기술력 활용해서 도시를 계획하고 구축하는 게 새로운 패러다임”이라고 강조했다. 카시와노하 스마트시티의 경우 민간 디벨로퍼인 ‘미츠이 부동산’ 주도로 유통, 에너지, 전자 기업 25곳이 참여해 주식회사를 설립하고 이 회사가 도시개발 방향을 수립하고 인프라를 조성하는 식으로 추진됐다. 최 부문장은 “국내서 추진 중인 스마트시티나 도시재생에 있어서 민간기업이 제외되고 있다”며 “개발이나 운용외에도 도시 데이터를 묶고 주체간 네트워크를 유지할 수 있는 매니지먼트 시스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민간기업의 자원과 역량을 충분히 활용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갑성 연세대학교 교수는 “도시재생에 어떻게 스마트시티 기술을 입히느냐가 새로운 화두”라며 “스마트시티 기술은 비용이 더 들거나 사용이 복잡해지는 게 아니라 오히려 반대로 에너지 사용을 줄이거나 공공서비스 예산이 덜 들어가도록 하는데 쓰일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해외에서는 IT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도시 재생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구글의 자회사인 사이드워크는 캐나다 토론에서 퀘이사이드(Quayside)에서 지난해부터 스마트도시재생모형 파일럿사업을 진행중이다. 또 세계 최대 온라인 신발판매사인 자포스의 대표인 토이 쉐이 대표는 라스베이거스에서 다운타운 프로젝트를 통해 구도심 재생에 성공했다.

그러나 해외 도시재생 사례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국내 현실에 맞게 적용하는 게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손정원 런던대학교 도시계획과 교수는 “국내 언론과 학계에서 영국의 성공한 도시재생 사례로 킹스크로스역 주변 개발 사례를 대표적인 예로 들고 있다”며 “그러나 이는 유명한 사례이지 모범사례는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킹스크로스역 인근 재생 사업 추진과정에서 일부 지역주민들과의 심각한 갈등과 법정 소송이 불거졌으며 인근 임대료가 급등하면서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했다는 부적정인 사실은 알려지지 않았다는 게 손 교수의 설명이다.

도시재생사업은 대상 지역의 특성과 수요에 맞게 계획되고 추진돼야 한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됐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도시재생과 스마트시티의 궁극적 목표는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이라며 “지속 가능하고 친환경적이며, 경쟁력 있는 도시 공간을 만들어갈 스마트 기술과 도시재생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이탁 국토해양부 도시재생사업단장은 “도시에 살고, 일하고 있는 시민의 수요가 무엇인지를 잘 파악하는 게 스마트시티형 도시재생의 목표 설정의 핵심”이라며 “각 도시의 특색에 맞는 특화형 사업을 추진하면서도 주민들이 수용할 수 있는 사업을 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이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