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文 '운전자 외교' G7회의서 펼칠까

靑 "참석 논의중"…안보리 상임이사국에 한반도 평화 협조 구상

북미 정상회담의 시기와 장소가 확정되면서 문재인 대통령의 ‘운전자 외교’도 본격적인 시험대에 오르게 됐다. 다음달 8~9일 캐나다에서 열리는 주요7개국(G7) 정상회의가 첫 무대가 될 가능성이 높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과도 상당수 겹치는 G7 정상들에게 문 대통령이 남북 간 ‘판문점 선언’의 의미를 설명하고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을 위한 협조를 당부한다는 구상이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11일 기자들과 만나 “G7 정상회의 참석은 이전부터 논의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번 회의의 의장국인 캐나다가 나머지 6개국과 협의해 초청하는 것이 관례라 협의 중이고 아직 공식 초청을 받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애초 한미 정부는 북미 정상회담을 먼저 열어 결과물을 갖고 G7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그림을 그리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취임 후 다자외교 무대에서 큰 갈채를 받지 못했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금까지 누구도 해내지 못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성과를 G7 앞에서 공개하고 싶었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그러나 북미 회담 일정이 G7 정상회의 이후로 미뤄진 것은 중간선거 등 미국 내 정치적 요인이 컸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그럼에도 이번 G7 정상회의에 문 대통령이 참석한다면 그 의미는 작지 않다. G7(미국·영국·프랑스·독일·캐나다·이탈리아·일본) 가운데 미국·영국·프랑스는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우리 정부 입장에서 북한의 비핵화 이후 한반도의 평화 구축과 공동번영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국제사회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특히 문 대통령은 평화협정 추인과 대북제재 해제 과정에서 필요한 유엔 안보리의 지지를 강력히 요청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 대통령은 오는 22일 트럼프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열고 북미 정상회담에 앞서 한미 간 의견을 사전 조율한다.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핵 폐기(CVID) 이후에만 북한에 보상을 줄 수 있다는 미국과 ‘단계적·동시적 조치’를 주장하는 북한 사이에서 문 대통령은 간극을 좁히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