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5대 新산업 2022년까지 160조 투자..."일자리 20만개 창출"

민관 '산업혁신 플랫폼' 발족

규제 샌드박스 도입하고 인재 양성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이 재생에너지와 자율주행차, 사물인터넷(IoT)가전 등 5대 신산업 분야에 2022년까지 160조원 가량을 투자한다. 정부도 규제 샌드박스 도입 등의 제도 개선을 통해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해 일자리 20만개를 창출하겠다는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1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민간기업과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산업혁신 2020 플랫폼’을 발족하고 이 같은 신산업 발전전략을 논의했다.

이 플랫폼은 △전기·자율주행차 △에너지신산업 △반도체·디스플레이 △IoT 가전 △바이오·헬스 등 5개 신산업에서 2020년까지 일자리를 20만개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민간과 정부, 전문가 등이 머리를 맞대고 전략을 수립하는 민관 협의체다. 이날 열린 첫 회의엔 백운규 산업부 장관과 김현철 대통령비서실 경제보좌관을 비롯해 대한상공회의소·한국무역협회·한국중견기업연합회 등 경제단체, 박지원 두산(000150)그룹 부회장과 윤부근 삼성전자(005930) 부회장 등 재계 관계를 포함한 30여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2022년까지 계획을 담은 ‘신산업 프로젝트 투자·일자리 로드맵’을 논의했다. 산업부는 5개 분야 공기업과 민간기업들로부터 앞으로 5년간 투자계획을 취합한 결과 최대 157조5,000억원의 투자가 이뤄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올해에만 약 2만7,000개, 2022년까지 모두 20만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는 게 산업부의 추산이다.

관련기사



가장 많은 금액이 투자가 되는 분야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분야다. 60조1,000억원이 투입돼 8,500명의 일자리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후발국과의 초격차를 유지하겠다는 게 정부의 복안이다. 전기·자율주행차 분야에선 34조2,000억원 투자로 1만8,200명의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전망된다. 민간기업이 혁신적 신제품을 출시하고 정부는 충전 인프라 확충과 실증사업 등의 수단을 통해 지원한다. 44조8,000억원의 투자가 계획된 에너지 신산업 분야에선 14만9,200명의 일차리 창출 효과가 예상된다.

산업부는 투자계획 등이 차질 없이 이행될 수 있도록 ‘규제 샌드박스’ 도입 등 규제 개선과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전문인력 양성에 힘쓰기로 했다. 산업부는 연구개발(R&D) 예산에서 신산업의 비중을 현재 30%에서 2022년 50%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백 장관은 “기업도 산업부터 4차 산업혁명에 대해서 모르는 부분이 많다”며 “산업정책이 워낙 급격히 바뀌는 만큼 패러다임을 정확히 알아야 하고, 그러기 위해 앞으로도 기업 많이 만나서 애로사항을 듣겠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 기업들은 에너지산업의 규제 개선, 미래형 자동차 부품개발을 위한 공급망 강화, 공공부문의 초소형 전기차 구매 확대 등을 건의하고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세종=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