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입장권 1장에 8만원”…암표 거래 기승부리는 대학축제

연예인 초청공연 등 많아

커뮤니티에 티켓판매 잇따라

최고 6배까지 가격높여 팔기도

대학가 축제 모습/연합뉴스대학가 축제 모습/연합뉴스



푸르른 5월 전국 곳곳의 대학가에서 축제 기간을 맞은 가운데 일부 대학들의 ‘암표’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축제 입장권 암표 거래는 주로 유료로 발행되는 연예인 초청 공연에 많이 목격되고 있다.

통상 사흘간 이어지는 전체 축제 기간 중 하이라이트로 꼽히는 이 공연의 입장권은 온라인 커뮤니티와 인터넷 카페 등에서 비싼 가격에 팔겠다는 글들이 올라오고 있다. 대부분의 대학 공연은 무료이지만 자교 학생 우선 입장권을 배포하는 경우가 있어 이럴 경우 웃돈을 얹고 판매하는 것이다.


13일 대학가에 따르면 학생들에게도 유료로 입장권을 판매하는 연세대와 고려대에서는 축제 티켓을 놓고 웃돈을 얹어 비싸게 팔겠다는 글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왔다. 오는 19일 열리는 공연 티켓은 아직 학생들에게 배부하지도 않았는데 연세대 온라인 커뮤니티와 인터넷 카페에는 티켓을 사겠다거나 팔겠다는 글들이 줄을 잇고 있다. 연세대 축제 입장권 1장 기준 원가는 1만3,000원이지만 게시글에는 8만원에 팔겠다는 암표상도 나타났다. 이는 무려 6배나 비싼 셈이다.

관련기사



결국 입장권 판매를 담당하는 연세대 응원단은 학내 커뮤니티 ‘세연넷’에 암표 거래 글을 차단해 달라고 요청했고 현재 해당 게시글은 삭제된 상태다. 하지만 티켓을 원가에 판매하는 글은 여전히 허용돼 ‘정가에 사겠지만, 사례해드린다’는 식으로 암표 구매 글이 잇따르고 있다.

고려대 축제 입장권 역시 웃돈을 얹어서 사겠다는 글이 온라인에 속속 등장하고 있다. 고대 축제 입장권 원가는 1만 1,000원이다. 또한 15~16일 축제를 앞둔 건국대 총학생회는 노천극장에서 열리는 공연에 건대생들이 먼저 들어갈 수 있도록 우선 입장권을 배포했다. 공연장에는 건대생이 아니더라도 입장할 수 있으나 건대 학생들이 3시간 정도 일찍 들어가 좋은 자리를 맡을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다. 그러나 이 역시도 온라인 등에서 이 입장권을 돈을 주고 판매하는 일이 벌어졌다.

총학은 공연 당일 원활한 행사 진행을 위해 신원확인을 따로 하지 않으려 했으나 암표 판매가 활개 치면서 학생증을 함께 확인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정해진 요금을 받고 판매하는 입장권에 웃돈을 얹어서 다른 사람에게 되파는 것은 엄연한 범죄행위”라며 “경범죄처벌법에 따라 범칙금을 부과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정가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