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철강도 모자라 수입차까지…트럼프 20% 관세폭탄 시사

美 자동차업계 '빅3' 간담회서 거론

수입차 배출가스 규제 강화도 언급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1일(현지시간) 수입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20%로 대폭 올리고 배출가스 규제도 강화하는 방안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제너럴모터스(GM)와 포드·피아트크라이슬러(FCA) 등 ‘빅3’와 도요타·혼다 등 글로벌 자동차 업체 대표들과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방안을 언급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이날 간담회는 스콧 프루잇 미 환경보호청장과 로런스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이 함께 배석해 미국 내 자동차의 배출가스 기준 변경을 논의하는 자리였다.

관련기사



WSJ는 간담회에 정통한 관계자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 문제와 유럽계 자동차 회사들의 미국 내 생산 부진을 거론하면서 수입차에 20%의 관세를 부과하고 배출가스 기준을 강화할 수 있다고 시사했다고 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수입 철강에 25% 관세를 매긴 후 유럽연합(EU)이 보복관세 부과를 예고하자 유럽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 인상을 경고한 바 있다.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미국에서 자동차를 더 많이 만들어 수출해달라”고 업계 대표들에게 촉구하면서 멕시코에서 미시간주로 생산시설을 이전하기로 한 FCA의 계획을 언급하기도 했다. 이어 그는 세르조 마르키온네 최고경영자(CEO)에 대해 “이 자리에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인사”라며 추켜세웠다고 WSJ는 전했다.

다만 무역 전문가들은 미국이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을 제외해도 세단과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등 대부분 차량에 2.5%의 저율 관세를 부과하는 상황에서 추가로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세계무역기구(WTO) 규정 위반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한국 정부 역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시행으로 이어지기는 힘들 것으로 전망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특히 한국과 같이 미국과 FTA를 맺고 있는 나라에 대해 관세를 갑자기 올리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우리나라의 자동차 환경 기준이 미국보다 이미 높아 미국의 배출가스 기준 강화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뉴욕=손철특파원 박형윤기자 runiron@sedaily.com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