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TV·방송

[SE★단독인터뷰③]김경익, 연희단에 대한 오해와 진실..그리고 현재

‘연극’은 연극인보다 위대한 작업이다.

무역회사를 다니던 20대 평범한 청년은 연극을 만나고, 세상에 눈을 떴다. 그리고 바로 그 세계로 뛰어들었다. 하지만 12년 뒤 연극을 알게 해준 스승을 떠났다. 25년 뒤엔 그를 ‘마음 속에서 추방’ 시켰다고 했다.


영화 ‘박하사탕’(1999)에서 설경구에게서 고문을 받는 운동권 대학생이자 영화 ‘타짜’(2006)에서 정마담을 지키던 오른팔 빨치산으로 강렬한 인상을 남긴 배우 김경익 이야기이다. 1968년생 오달수와 동갑내기로 연희단거리패에서 오랜 시간 함께 해 왔으며, 곽도원(곽병규)과도 함께 극단 생활을 했다.

김경익 연출 겸 배우는 “‘연극’은 연극인보다 위대한 작업이다.” 며 “연극인들은 서로를 다른 역할을 맡은 동업자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했다.김경익 연출 겸 배우는 “‘연극’은 연극인보다 위대한 작업이다.” 며 “연극인들은 서로를 다른 역할을 맡은 동업자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했다.



우리극연구소 1기 김경익은 1994년 1월, 배우로 데뷔했다. 연극 ‘햄릿’ ‘오이디푸스’ ‘어머니’ 등에 출연하며 약 12년간 이윤택 전 연희단거리패 예술감독과 연극 세계를 공유하며 ‘포스트 이윤택’으로 불렸다. 이대표가 자리를 비우면 연출 자리를 떠맡는 등 연출 쪽 경력을 꾸준히 쌓아온 스태프 출신이기도 하다. 이후 2006년 연희단거리패와 결별, 2012년엔 극단 진일보를 창단해 연극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2월 초 이윤택 전 연희단거리패 예술감독을 중심으로 하용부 밀양연극촌 촌장등이 극단원들을 성추행하고 유사강간한 혐의가 폭로되며 연극계 ‘미투(#MeToo)운동’ 열풍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배우 겸 연극 연출가 김경익을 만나, 연희단거리패의 과거와 현재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그가 꿈꾸는 연극의 세계에 대해 직접 들었다.

다음은 연극인 김경익과의 일문일답이다.



Q. 단원수가 70여명에 달했던 연희단거리패가 지난 2월 공식 해체 됐다. 극단 배우 및 스태프들은 어떻게 지내고 있는가?

A. 일부 고참들은 부산에서 같이 생활하고 기수가 어린 친구들은 일단 집으로 돌아가도록 한걸로 안다. 밀양연극축제는 밀양시 중심으로 새롭게 운영되고, 부산 가마골 소극장은 당분간은 작업을 하지 않을 듯 하다.

Q. 상대적으로 정보가 덜 알려진 연차가 어린 배우들의 근황이 궁금하다.

A. 극단을 나온지가 14년 가까이 돼서 어린 단원들을 잘 알지 못한다. 다만 현재 제가 진행 중인 작품에 연희단 후배가 지원을 해서, 조건 없이 캐스팅을 했다. 미투 관련된 이야기는 본인이 꺼내기 전에는 묻지 않을 것이다. 다행인 것은 긴장되고 굳었던 얼굴이 작업 과정속에서 많이 밝게 펴져가고 있다는 사실이다.

Q. 이윤택씨 사건 이후, 김경익 선배에게 자문을 구하는 후배들도 많았나. 혹시 있다면 그들에게 어떠한 이야기들을 해준 게 있나?

A. 이번 (이윤택 고소인단)고소를 추진한 후배 4명도 집근처에서 만났다. 길고 힘든 싸움이니 단단히 각오하라고 이야기 해줬다. 곽도원 배우 일 관련해서도 억울함을 호소하기도 했다. 곽배우의 경우 저와 나누었던 카톡 내용을 증거로 써도 된다고 허락해주었다.

Q. 혹 곽도원 배우 관련 억울함이 구체적으로 어떤건지?

A. 후배 4명이 강남 소재 술집에서 3시간이나 기다려 곽배우를 만났고, 다들 편한 자리니 말도 서로 편하게 했다고 한다. 그 분위기에서 오고간 말 중 일부만을 뽑아서 마치 금품을 요구한 듯한 소속사 대표 발표에 대한 것이다.


Q. 사건 이후...거칠게 말하자면, 연희단거리패는 이제 패거리 집단, 쓰레기 집단이란 별명까지 생겼다. 이에 대해 의견을 말 한다면?

관련기사



A. 누군가가 뭐라고 비난하더라도 할 말이 없다. 이 상황에 대한 그의 판단이니까요. 다만 그분이 연극을 하시는 분이라면 연희단거리패의 좋았던 모습도 기억하시고 더욱 용맹정진하시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Q. 연희단거리패 후배들에게 꼭 해주고 싶은 말이 있다면?

A. 그곳이 아무리 손가락질을 받아도 저의 연극적 고향은 연희단거리패이다. 부인할 수 없다. 우리는 연극을 위해 모든 것을 걸고 살아왔다. 연희단거리패는 사라졌지만 우리가 피땀 흘려 만들어낸 시간과 노력은 사라지지 않고 후배님들의 핏속에 저장되어 있을 겁니다. 아무리 허탈감과 분노가 일어나도 그 열정을 부인하진 맙시다. 잘못은 처벌을 받아야 한다. 하지만 너 나 없이 작품을 위해 헌신한 시간마저 잘못된 일은 아니다고 말하고 싶다.

.

인간 김경익은 “‘유한한 시간을 어떻게 살 것인가’를 늘 고민한다”고 말했다.인간 김경익은 “‘유한한 시간을 어떻게 살 것인가’를 늘 고민한다”고 말했다.


Q. 연극인들, 특히 얼마간 연극계에 몸 담았던 남자 배우들은 미투에서 자유롭게 못하다는 말이 나온다. 이런 혼돈과 선입견의 핵심을 무엇으로 볼 수 있나?

A. 역설적으로 그만큼 연극인들이 불합리한 권력에 대해 침묵하지 않은 것이라 본다. 오히려 말조차도 꺼내지 못하는 많은 다른 예술 장르들의 (미투)이야기도 들린다. 그리고 무엇보다 정치인들이 위계권력으로 저지른 범죄들이 더 지저분하고 많다. 그들은 누구하나 감옥에 간 사람이 있나요? 누구 하나 부끄러움에 생명을 버린 사람이 있나요?

어디나 누구나 공과(功過)가 있다. 공은 공대로 과는 과대로 처리하면 된다. ‘연극’은 연극인보다 위대한 작업이다.

Q. 이윤택씨 사태를 더 건강한 연극을 만들기 위해 한번쯤은 겪어야 하는 과정으로 이해해야 할까. 한바탕 충격이 휩쓸고 간 뒤 연극인 및 관객들이 명확히 직시해야 할 부분은 무엇일까?

A. 이미 말 했지만 ‘어느 날 갑자기’는 없다. 그 점을 인지하고, 연극작업자들이 꼭 되새겨야 할 일은 우리는 서로를 다른 역할을 맡은 동업자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점입니다. 연출이 배우보다 위대한 인간도 아니도 절대적인 선(善)도 아닙니다. 연출은 연출로서의 역할을, 배우는 연기자로서의 역할을 분담한 공동작업자로 서로 존중받아야 한다. 우주 속 먼지보다도 작은 존재가, 몸속 세포 하나가 이기적인 방법으로 자기만 살아남으려 남을 해할 때 그 몸은 병들기 시작한다. 아무리 아파도 그 고름을 짜내야 새 살이 돋을 것이다.

Q. 인간 김경익이 생각하는 행복한 삶이란?

A. ‘유한한 시간을 어떻게 살 것인가’를 늘 고민한다. 고기 몇 그램을 먹는 게 행복한 게 아니라, 내가 사는 시간이 내 재능으로 행복했으면 좋겠고, 모르는 시간을 만나서 풍성했으면 좋겠다. 가능하다면 나와 함께하는 시간으로 사람들이 꿈꾸게 할 수 있음 한다. 분명히 나중에 후회하지 않은 삶이라고 믿어요.

Q. 소년원 아이들 연극 지도, 일반인 연극 지도 활동을 하고 있는데, 그것 역시 꿈의 연장선인가? 드라마나 영화에 잠깐 출연하는 게 현실적인 문제인 페이적인 면에서는 훨씬 이득일텐데.

A. 소년원에 가서 수업할 때도, 연극을 통해 새로운 세상을 만나게 된 아저씨 아주머니의 모습들에게 힘을 얻는다. 그 일이 자꾸 (연기로)내가 누군지 설명하는 것보다 훨씬 잘 할 수 있는 일일 것 같다고 생각했다. 10분의 1도 안 되는 돈을 받지만 2번 3번 일해도 부끄럽지 않는다. 연극하면서 받는 몇 배의 돈인 드라마 하루 출연료 받으면, 아껴 쓰면서 살면 된다.

화려하게 반짝 거리는 것만 스타가 아니다, 그것 때문에 오늘 갈증이 나면서 살긴 싫다. 세상 불빛이 다 꺼져 어두울 때, 좌표가 되는 게 진짜 스타 아닌가. 전 제 스타가 되면 된다. 스타의 통장 계좌는 조금 부럽지만, 그것으로 불행하고 싶진 않다.

연기는 저보다 (송)강호 형이 잘 하지만, 강호 형은 아마 제가 하는 이 일을 못할 걸요. 저 역시 다른 의미에서 명품이다고 자부합니다. 내가 명품 인 곳에서 한 세상 밥 먹고 살면 부끄럽지 않을 거예요.

Q. 김경익 연출 겸 배우가 끝내 만들고 싶었던 연극의 그림은, 좋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뜻을 함께 하는 이들이 손잡고 걸어가는 모습일까? 끝내 만들고 싶었던 연극의 그림에 대해 좀 더 말해달라.

A. 저는 극단을 만들었지만 단원을 모집하지 않는다. 다만 1년에 1명이라도 연극의 소중함을 알고 삶의 지평을 공유할 사람이 필요하다. 그렇게 모인 10명이면 충분하다. 그들과 함께 세상에 꼭 필요한 이야기를, 현대·삼성 대기업도 만들지 못하는 감동의 세상을 만들어 갈 것이다. 그런 삶의 동지들과 함께 어깨동무 하고 한세상 넘어가려 한다.

정다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